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국 건강식품 시장

  • 등록일2021-06-25
  • 조회수437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중국, 캔디나 젤리형태 건강식품 인기


◈목차


1. 중국 건강식품 매출 지속증가

2. 건강식품 산업의 경쟁구조 분산

3. 온라인 채녈의 건강식품 판매 급증

4. 시사점


◈본문

  

- 온라인 채널의 건강식품 판매 급증 -
 
- 소프트캔디·젤리 등 간식 형태의 건강식품 인기 -
  
1. 중국 건강식품 매출 지속 증가
  
중국인들의 건강의식이 강해지면서 의료·보건에 대한 소비자 지출이 빠르게 늘고 있다. 또한 이에 따라 건강식품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2015~2020년 중국 건강식품 매출은 매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유지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시민들의 건강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되면서 건강식품에 대한 수요가 폭발했고 이는 2020년 판매액 성장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2020년 중국 건강식품 매출액은 1984억 위안에 달했으며 전년 대비 11.52% 증가했다.
 
 

1.png

 
지역 분포를 보면, 중국 1선, 신1선 및 2선 도시 사람들은 비교적 강한 헬스케어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건강식품 소비가 대중화되어 있다. 그 외 외곽지역의 건강식품 시장은 여전히 시장의 성장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외곽지역 소비자들의 건강의식이 제고된다면 해당 건강식품 시장은 큰 성장을 이룰 것이다.
   
2021년 2월 기준 중국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구매하는 건강식품의 주요 기능은 영양제, 수면개선, 보양 등 3 가지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 소비자들은 또한 면역증강에 대한 수요도 높아져 관련 제품의 판매도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주요 소비층의 연령층이 낮아지고 소비환경이 다양화되면서 피로회복 등 기능성 건강식품의 수요도 늘고 있다.
 
 

2.png

 
2. 건강식품 산업의 경쟁구조 분산
 
건강식품 시장의 시장점유도 1위기업은 BY-HEALTH(汤臣倍健)이다. BY-HEALTH(汤臣倍健는 최근 판매채널 다변화에 힘쓰고 있으며, 단일제품 전략 및 전자상거래 집중마케팅 전략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LSG, Penta-vite등 해외기업 인수를 통해 취급품목을 넓히면서 시장 점유율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2020년 현재 중국 건강식품 시장의 기업집중도는 CR3(TOP3 기업의 집중도)가 13.9%, CR5가 19.9%, CR10가 30.4%이다. 이 중 BY-HEALTH가 6.4%로 1위를 차지했다.
 
 

3.png

 
Euromonitor에 따르면 11년간의 성장을 거쳐 2009년 0.8%였던 BY-HEALTH(汤臣倍健) 의 시장점유율은 2020년 6.4%로 업계 1위를 차지했다, 우지샨(无极限)의 시장점유율은 1% 하락했으며, Amway(安利) 가 10.8% 하락해 하락폭이 가장 크다.
  
브랜드 파워를 보면 2020년 중국 건강식품업계의 주요 브랜드 파워 지수는 아래와 같다. 그중 BY-HEALTH이 1위, NUTRILITE가 2위, 양생당이 3위였다.
 
 

4.png

 
 
3. 온라인 채널의 건강식품 판매 급증
  
2019년 중국 건강식품 산업의 주요 마케팅 경로는 직판, 전자상거래, 약국이며, 이 중 직판 경로가 36%, 전자상거래 경로가 34%, 약국 경로가 16%이다.
 
 

5.png

 
 
코로나19로 인해 기존에는 슈퍼마켓, 약국을 통해 소비했던 고객들이 점차적으로 온라인으로 유입됐다. 또한, 코로나로 인해 고객들이 집에서 휴대폰을 들여다 보는 시간이 늘어났고 이로 인해 온라인시장이 더욱 활성화 되었으며, 이러한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건강식품 기업들의 온라인마케팅 투자도 점차 높아졌다.
  
이로 인해 2020년 중국 온라인 채널의 건강식품 매출은 빠르게 상승곡선을 달렸다. 알리바바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 알리바바 채널의 건강식품 판매액은 333.96억 위안이며 전년대비 55.95% 증가했다.
 
 2020년 월별 수치를 봐도 변화가 뚜렷하다. 1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07% 증가한 13억9700만 위안에 그쳤고, 3월 21억4600만 위안, 11월 62억1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63.27% 증가했다.
 
 

6.png

 
 
라이브커머스의 활성화는 많은 건강식품 회사로 하여금 온라인 마케팅의 투입 강도를 높임으로써 건강식품 산업에 새로운 기회와 판매증가를 불러 일으켰다. 건강식품 1위기업인 BY-HEALTH도 온라인 채널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BY-HEALTH는 틱톡과 티몰 등 APP에 입주하여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펼쳤고, 각 플랫폼별로 22.7만 명, 457만명의 팔로워를 유치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