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0년 제약산업 분석 보고서

  • 등록일2021-10-28
  • 조회수486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1-10-22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제약산업 #의약품#약사법
  • 첨부파일


2020년 제약산업 분석 보고서


◈목차


요약문

제1장 제약산업 특성 및 정책 동향

1. 의약품 및 제약산업 정의 

2. 국내 제약산업 특성

3. 국내 제약산업의 정책동향

4. 코로나19로 인한 제약산업 영향 

5. 국내 제약기업(혁신형 제약기업 위주) 주요 실적

제2장 세계 제약산업 동향

1. 세계 의약품 시장 동향

2. 국가별 시장 동향 

3. 전 세계 의약품 연구개발 동향

제3장 국내 제약산업 동향 

1. 우리나라 제약산업 동향

2. 수출입 동향

3. 바이오의약품 동향

제4장 국내 제약산업 연구개발 동향

1. 개요

2. 제약산업 기업체 연구개발 현황

제5장 결언

1. 산업동향

2. 산업전망 및 함의

3.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1.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

2. 국내 의약품 시장현황

3. 세계 상위 20개 제약업체 매출액 현황

4. 의약품 제조·수출입 허가 및 신고 현황

5. 2019년 국가별 의약품 수출 현황

 

 

◈본문

 

요 약 문

1. 제약산업 특성 및 정책동향

의약품의 정의는「약사법」제2조4호에 따라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예방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대한민국약전에 실린 물품으로 의약외품이 아닌 것을 말하며, 제약산업은 의약품을 연구개발·제조·가공·보관 및 유통하는 것과 관련된 산업을 의미한다. 제약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한 고부가가치 산업이자 지식기반 산업으로 원료 및 완제 의약품의 생산과 판매에서부터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 등 모든 과정을 포괄하는 첨단 부가가치산업이다. 또한, 타 업종에 비해 기술 집약도가 꽤 높은 편이며 고도의 전문성과 함께 긴 투자기간과 높은 위험을 수반하지만,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신약 개발에 성공할 경우 막대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므로 미래 성장산업으로 분류되고 있다. 세부적으로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주요 특징은 10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① 연구개발 비중이 높은 산업, ② 내수 완제품 생산 중심의 산업, ③ 상‧하위 기업 간 양극화 심화 산업, ④ 시장 규모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 ⑤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산업, ⑥ 공급‧유통 체계가 투명해야 하는 산업, ⑦ 공급자-수요자 간 정보 비대칭 산업, ⑧ 의약품 가격이 비탄력적인 산업, ⑨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받는 산업, ⑩ 미래 먹거리로 부상하는 산업 

 

의약품 정책의 기본방향은 안전하고 유효한 의약품 사용 환경 조성을 통해 건강 등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 증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국민들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제도개선, 의약품 일련번호 제도 운영 및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UR) 등을 통하여 의약품의 유통체계와 의약품 적정 사용을 관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정부는 국내 보건산업 특히, 제약산업의 육성 및 혁신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관련 법률을 제정하거나 주요 시책에 대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