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국 여성 갱년기 치료제 시장동향

  • 등록일2021-12-03
  • 조회수393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중국 여성 갱년기 치료제 시장동향


2021-11-30 중국 베이징무역관 조민


- 2030년 중국 갱년기 여성 2.1억 명 도달 전망 -

- 홍조, 발한, 수면장애, 우울증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종합 갱년기 약품 인기 -


◈목차


상품명 및 HS CODE
시장규모 및 동향
수입동향
경쟁동향, 주요 경쟁기업 및 유통구조
관세율
수입규제 및 통관제도
전망 및 시사점



◈본문


상품명 및 HS CODE

20211203_093902.png


시장규모 및 동향
중국 갱년기 여성 수는 이미 2010년에 1.6억 명 도달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통계되었다. WHO통계에 의하면 2030년 전 세계 12억 명에 달하는 여성이 갱년기 증상이 올 것이며, 중국 갱년기 여성은 2.1억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갱년기 증상 도중 우울증 발병률이 높아짐에 따라 갱년기 치료제 시장이 성장하기 시작했다.
 
2018년 중국 갱년기 약품 시장규모는 24.2억 위안으로 2016년 대비 41.5% 증가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갱년기 약품은 알갱이, 드링크제 등 형태가 있으며, 중약과 서약 비중이 각각 절반씩 차지하고 있으며, 중성약(中成药, 중약재로 된 약품)의 발전 잠재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갱년기 약품 시장규모 현황

20211119091530203_QAHUKQH8.jpg


자료: 智研咨询
 
수입동향
갱년기 약품은 직접 복용이 가능한 드링크제 형태는 HS CODE 2202.99로 분류되며, 알갱이 형태 등은 HS CODE 2106.90으로 분류된다.
 
최근 3년간 HS CODE 2202.99로 분류되는 중국 갱년기 약품 수입액은 지속 증가세를 이어왔으며, 2020년 수입액은 전년 대비 5.55% 증가한 6억 901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입국/지역으로는 대만, 한국, 미국으로 이들의 수입액은 전체 수입액의 50%이상 차지했다. 對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지속 증가 추세이며 2020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10.27% 증가한 1억 990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18.05% 차지했다. 최근 몇 년간 대만 지역을 제외하면 한국이 제1수입국이며 전체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갱년기 약품(HS 2202.99) 수입 동향

20211203_094040.png

자료: GTA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