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베트남 유산균 제품 시장 동향

  • 등록일2021-12-08
  • 조회수375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베트남 유산균 제품 시장 동향


2021-12-02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박혜연

- 유산균 제품을 포함한 베트남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 2023년에는 11억 25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설문조사 응답자의 66%, 면역체계 개선 및 강화 위해 건강보조식품 섭취-



◈목차


상품명 및 HS Code
시장동향
수입동향
경쟁동향
유통구조
관세율 및 인증
전문가 인터뷰 및 시사점



◈본문


상품명 및 HS Code
베트남 기능식품 관리법(No.43/2014/TT-BYT)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이란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미량 영양소 및 기타 요소(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지방산, 프로바이오틱스, 그외 생물학적 활성물질)를 보충하는 일반 식품’으로 정의된다.

20211208_110634.png

주: 베트남의 HS CODE 분류체계에서는 유산균은 별도로 분류돼 있지 앉아 근접한 HS 코드를 선정

시장동향
베트남은 국민 평균 소득수준의 꾸준한 상승과 더불어 건강,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 증가로 운동, 건강한 식사, 면역력 강화 등 행복하고 건강한 삶에 대한 기준이 재정립되고 있다. Euromonitor보고서에 따르면, 유산균 제품을 포함한 베트남의 건강보조식품 시장은 2020년 기준 7억 9770만 달러 규모로 추산되며, 2023년에는 11억 25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비타민 및 건강보조식품 시장규모
(단위: 백만 달러)

20211125184236386_WBSXLJQ6.png

자료: Euromonitor
주: ’22,’23년은 전망치

추가로, 2020년 7월 라쿠텐 인사이트가 2020년 7월에 실시한 베트남의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6%가 면역체계를 개선하고 강화하기 위해 건강보조식품을 섭취했다고 응답했다. 그 외에 베트남 소비자들은 스트레스완화, 피부 및 소화 개선 등 다양한 목적으로 건강보조식품을 구입하고 있다.


베트남 소비자들이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하는 목적

(단위:%)

20211125184236493_5MO9ZN0H.png

자료: Statista, 호치민 무역관 정리

주: 라쿠텐 인사이트 온라인 설문조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