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2년 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 동향

  • 등록일2022-04-08
  • 조회수3931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3-15
  • 출처
    국가신약개발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신약개발재단#JP Morgan#헬스케어
  • 첨부파일


2022년 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 동향


◈목차

M&A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모델리티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적응증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기술이전




◈본문


FiercePharma와, FierceBiotech, 그리고 Evaluate에 따르면, 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 2022에서 (JPM22) 체결된 딜은 총 40건이였다. 이 중 공동연구 딜은 28건으로 전체 딜의 70%를 차지하였다. 공동연구들은 주로 신규 모델리티 플랫폼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빅파마가 임상데이터를 제공하고 바이오텍이 플랫폼을 제공하는 형태의 공동연구와 각자의 강점으로 새로운 모델리티의 발전을 이끌어가고자 하는 바이오텍과 바이오텍간의 공동연구가 눈에 띄었다.


jp1.JPG


M&A
컨퍼런스 기간 중 이루어진 M&A는 4건이다. Fiercepharma는 M&A가 줄어들고 공동연구가 늘어난 배경으로 빅파마들이 VC들의 자금유입으로 규모가 커진 바이오텍의 인수보다는 공동연구를 선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하였다.


jp2.JPG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모델리티
모델리티 측면에서 가장 강세를 보인 것은 세포/유전자치료제 (33%) 였고, RNA (17%), AI 기반의 신약 발굴연구 (14%)가 뒤를 이었다. 특히, JPM22에서는 multiple target 발굴이나, multiple therapeutic area를 대상으로한 공동연구들이 각각 7건과 4건으로 많아진 것이 눈에 띈다. AI기반의 신약 발굴연구들이 대부분 이러한 특징을 보였는데, 기존의 신약 개발방법에 비해 AI discovery 기술이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가능성이 높은 후보물질들을 여럿 발굴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더불어, 현재 특정 적응증에 국한되어 있는 신규 모델리티들의 적응증을 확대해보려는 제약사들의 시도는 상대적으로 적은 리스크로 도전해볼 수 있는 모델리티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jp3.JPG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적응증
적응증 측면에서는 multiple therapeutic area를 타겟한 딜 4건과 적응증을 밝히지 않은 공동연구들이 6건 있었음에도, 여전히 종양을 대상으로 한 딜이 총 16건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하며 가장 큰 관심을 받았고, 중추신경계질환이 뒤를 이었다. 전체 딜 중 희귀질환을 적응증으로 밝힌 딜은 5건이었다.

jp4.JPG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기술이전
기술이전의 트렌드는 작년과 같이 early stage pipeline 위주의 bolt-on acquisition이 주를 이루었다. 이는 비싼 가격으로 임상 단계의 기술수입을 했다가 기술반환을 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bolt-on acquisition을 여러 개 맺어 신약개발의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전략으로 유추된다. 특히 코로나 백신을 통해 막대한 현금 유입을 바탕으로 활발한 M&A에 나설 것으로 기대되었던 화이자(Pfizer)조차 상대적으로 저렴한 bolt-on acquisition에 대한 관심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며 기술이전의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가장 높은 upfront payment를 받은 상위 딜 3건 중 2건이 비임상(preclinical) 단계였으며 이는 Pfizer-BioNTech의 대상포진 백신 공동연구와 Pfizer-Beam Therapeutics의 중추신경계 및 근육, 간 관련 희귀질환을 대상으로한 base editing 기반의 공동연구였다.

jp5.JPG


jp6.JPG

jp7.JPG


jp8.JPG


jp9.JPG


<문의>
국가신약개발사업단 기획운영팀 곽서연 선임연구원 (seokwak@kddf.or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