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22 미국암연구학회(AACR) 주요 발표 및 논문 초록 리뷰
- 등록일2022-04-26
- 조회수4685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4-12
-
출처
국가신약개발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신약개발재단#미국암연구학회#AACR#CAR-T
- 첨부파일
2022 미국암연구학회(AACR) 주요 발표 및 논문 초록 리뷰
◈목차
1. 주요 발표
① 바이오엔텍, mRNA 기술로 고형암 치료 가능성 발견
② 아피메드, 림프종 환자 대상 NK세포치료제의 우수한 효과 확인
③ 암젠, KRAS 변이 폐암 치료의 최장기 추적 결과 발표
2. 주요 연구 주제
① CAR-T 고형암 치료
② iPSC 유래 NK 세포 치료
3. 국내기업 연구
◈본문
2019년 이후 3년 만에 대면 행사로 치뤄진 미국암연구학회가 4월 13일 막을 내렸다. 올해 AACR에서 주목을 끈 글로벌 제약사들의 주요 발표와, 주요 연구 주제인 CAR-T 고형암 치료, iPSC 유래 세포 치료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AACR에서 발표한 국내 14개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결과를 살펴본다.
1. 주요 발표
① 바이오엔텍, mRNA 기술로 고형암 치료 가능성 발견
독일 바이오엔텍(BioNTech)은 mRNA 기반 항암제 BNT211의 첫 인체 대상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하여 주목을 받았다. BNT211은 종양태아항원인Claudin-6(CLDN6)을 표적으로 하는 자가 CAR-T 세포치료제와 ‘mRNA-리포플렉스(lipoplex)’ 기술을 활용해 CLDN6을 코딩하는 CAR-T세포 증폭RNA 백신(CARVac)의 두 가지 의약품으로 구성된다.
임상 1상에서 치료를 받은 16명의 환자 중 일부는 CLDN6 CAR-T 치료제만 단독 사용했고, 일부는 CARVac과 병용했다고 소개하였으며, 그 적응증으로는 고환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나팔관암, 육종, 위암 등이 포함됐다. 초기 임상시험 데이터에 의하면 재발성 또는 지속성 고환암·난소암 환자의 약 86%에서 종양이 성장을 멈추거나 줄어들기 시작했고, 특히 약 43%에서 종양이 눈에 띄게 줄어 mRNA 기반 고형암 치료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② 아피메드, 림프종 환자 대상 NK세포치료제의 우수한 효과 확인
아피메드(Affimed)의 말기 림프종 환자를 위한 NK세포 engager + NK세포 형식의 약물이 후속 임상에서도 높은 효능을 보여주어 주목을 받았다.
NK세포 engager 이중항체인 ‘AFM13(CD16A/CD30)’과 제대혈 기반 NK세포치료제(CbNK)를 사전 결합해 재발성 또는 불응성 CD30양성 림프종 환자에게 투여하여 안전성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임상 1상 대상자 4명의 중간결과가 부분관해(PR) 2명, 완전관해(CR) 2명으로 총 치료반응률(ORR) 100%의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면역항암제 투여시 우려되는 사이토카인방출신드롬(CPS), 신경독성과 동종유래 세포치료법에서 우려되는 식편대숙주질환(GvHD) 등의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아,안정성도 인정을 받았다.
③ 암젠, KRAS 변이 폐암 치료의 최장기 추적 결과 발표
암젠(Amgen)은 올해 최초의 KRAS G12C 저해제 루마크라스의 임상3상 결과발표를 앞두고, 가속승인의 근거가 된 임상1/2상의 장기추적 결과를
발표하였다. 루마크라스는 폐암 발생에 관여하는 KRAS G12C 돌연변이 단백질을 억제하는 최초의 경구용 표적 치료제이다. 암젠은 1년 생존기간(OS)데이터에서 환자 생존율 50.8%를 확인한데 이어, 이번에 업데이트한 2년 생존율은 32.5%를 확인하였다.
임상연구는 이전에 항암화학요법 또는 면역항암제 치료 경험이 있는 KRAS G12C 변이 고형암 환자 중 1상 및 2상에 참여한 비소세포폐암 환자 174명을 2년간 분석한 결과이다. 임상에 참여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83%가 백금기반 화학 항암제와 PD-L1 치료를 받았다는 점을 고려하였을때, KRAS G12C 표적항암제가 장기적으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이터다.
(Source: 청년의사, '루마크라스', KRAS 변이 폐암 치료에 최장기 데이터 발표)
2. 주요 연구 주제
바이오센추리는 AACR22에서 CAR-T 고형암 치료와 iPSC 유래 NK cell 치료를 주목할 만한 연구주제들로 선정하였다.
① CAR-T 고형암 치료
CAR-T 세포 요법은 여러 혈액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으나, 고형암에서는 아직 긍정적인 2상 데이터를 생성하지 못하고 있다. 고형암에 대한 선택적인 표적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으며, 비선택적 CAR-T는 장기 및 조직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CAR-T 세포 요법을 통한 고형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고형암 선택적인 표적 찾기, 고형암의 이질성 해결, 고형암 미세 환경의 억제 효과 극복의 당면과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AACR22에 40개 이상의 연구주제에서 고형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CAR-T 표적과 구조를 다루고 있다. 13가지의 새로운 CAR-T 치료 타겟[그림1]과 함께 이중 타겟 CAR를 포함한 CAR-T 구조가 발표되었다. 또한, 고형 암 미세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CAR-T 세포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T세포의 생존, 증식 및 지속성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변경하는 방법도 소개되었다.<표1>
source: BioCentury, AACR22 tackles the CAR T solid tumor challenge)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