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바이오의약 분야 인력의 양적, 질적 미스매치 실태조사

  • 등록일2022-05-09
  • 조회수4048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3-31
  • 출처
    화학·바이오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의약#바이오 인력#바이오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 첨부파일


바이오의약 분야 인력의 양적, 질적 미스매치 실태조사


◈목차


Ⅰ. 조사배경 및 필요

Ⅱ. 바이오의약 분야의 직무별 인력수급 미스매치와 그 원인

Ⅲ. 바이오의약 분야의 직무별 스킬 미스매치와 그 원인

Ⅳ. 바이오의약 분야의 직무별 인력 규모 추정

Ⅴ. 결론 및 시사점




◈본문



바이오의약 분야 인력의 양적, 질적 미스매치 실태조사

- WHO는 20022년 2월 24일 한국을 “WHO 글로벌 바이오인력 양성 허브”로 선정하였음

 • 선정 이유로는 국내기업의 백신·바이오 생산능력, 교육시설인프라, 정부의 정책적 의지 등을 밝혔음

 • WHO 인력양성 허브는 중·저소득국에게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교육훈련을 제공하는중심기관으로, 이들 국가의 백신 자급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바이오의약품 생산인력의교육·훈련을 담당하는 것임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보건복지부·외교부 2022.02.24.


- 정부도 산자부, 보건복지부, 식약처 과학기술부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바이오 관련 정책과 인력양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바이오의약 분야의 부문별 인력수급과 스킬 미스매치 현상은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음 

 • 첫째, 바이오의약 분야의 시장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

 • 둘째,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민간부문의 공격적인 투자로 기술혁신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는 점

 • 기업이 요구하는 직무능력을 갖춘 인력을 구하기가 쉽지 않음

 • 바이오 관련 전공자는 많이 배출하고 있으나 세부 직무별 인력수급 불균형이 존재함


- 화학·바이오ISC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2021년 산업인력현황 조사에서 바이오인력 분야의 인력 미스매치 실태 조사 사업을 추진한 바 있으며 이를 요약하여 보고함

 • 어떤 직무에서 어느 정도의 양적, 질적 미스매치가 일어나고 있는지

 • 직무별 인력의 현원과 부족인원 추정

 • 미스매치 완화를 위한 대안과 향후 계획



Ⅰ. 조사배경 및 필요성
 
| 글로벌 바이오산업의 시장규모는 2021년 5,837억 달러에서 2027년 9,113억 달러로 추정되어 연평균 7.7%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정부는 2020년 초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범부처 바이오산업 혁신 TF 「바이오산업 정책방향 및 핵심과제」를 발표하면서 바이오산업을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5대 분야 10대 핵심과제를 제시한 바 있음
 - 바이오분야의 인력양성을 위해 “바이오분야 전문인력 중점육성”전략을 그리고 “바이오산업 우수핵심인재 양성”을 
핵심과제 중 하나로 제시하였음
 
◦ 2020년 기준 바이오산업의 종사자수는 총 49,113명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같은 연도에 바이오분야 각급학교 졸업자 수는 특성화고 601명, 전문대학 1,026명, 대학 9,322명, 석사 1,939명, 박사 1,088명으로 합계 13,976명임
 - 바이오 의약분야에 종사하는 인력의 규모는 전체 바이오산업 종사자수의 약 42.5%인 20,894명으로 이 중 연구인력이 7,060명으로 가장 많고 생산인력은 6,854명, 그리고 기타가 6,980명에 이르고 있음 
 - 바이오 관련 연간 졸업자수 약 14,000명은 바이오산업 전체 종사자수 49,113명의 약 28.5%로서 그 규모가 적지 않으나 바이오 분야의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필요한 인력을 충원하기 쉽지 않은 실정임
 
 
Ⅱ. 바이오의약 분야의 직무별 인력수급 미스매치와 그 원인
 
| 인력의 양적 미스매치
 ◦ 바이오의약 분야 인력 부족률을 직무별로 살펴보면, 품질보증, 인허가, 연구기획 등의 직무의 부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음 
 - 이 직무들은 현원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부족률이 높게 나타나서 인력공급이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보임
 - 연구개발 직종의 경우 대체로 신입보다 경력직이 부족하고 생산 직종은 그 반대인 것으로 나타남
 

미스매치.JP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