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국 디지털 경제 발전 보고서

  • 등록일2022-11-29
  • 조회수2833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1-21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디지털경제산업
  • 첨부파일
    • pdf [ETRI북경센터]동향보고서_중국+디지털경제산업+발전+보고서 (2... (다운로드 9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중국 디지털경제산업 발전 보고서


 

◈ 목차

⑴ 중국 디지털경제의 전략적 배치
⑵ 중국 디지털경제의 최신 성과
⑶ 중국 디지털경제 산업 공간 모델
⑷ 중국 디지털경제를 주요 견인 조치

 

◈본문

■ 요약

o 중국 디지털 경제 규모

- 2021년 중국 디지털 경제 규모는 전체 GDP의 39.8%에 달하는 45조5000억 위안(약 8645조원)을 기록함

※ 중국 정보통신연구원은 디지털경제 규모를 디지털산업 분야를 뜻하는 디지털산업화와 기존 산업 분야의 디지털 응용을 의미하는 산업디지털화를 합산하여 계산함

※ 2021년 디지털산업화 규모는 8조3500억위안 (약1586조원)을 기록하여 전체 GDP의 7.3%에 달하며, 산업디지털화 규모는 37조1800억 위안(약 7064조원)으로 GDP의 32.5%에 달함

o 중국 디지털 경제 성과

- 디지털 경제 산업단지 정책 체계가 구축되고 디지털 경제 산업단지가 빠르게 성장하여 2021년 16개 성·시의 디지털 경제 규모가 1조 위안을 돌파함

- 디지털 산업 세부 업종별로 보면 전자 통신업은 안정적인 발전세를 유지했고, 전자정보 제조업은 급성장하였고, 소프트웨어와 정보기술 서비스업은 비교적 빠른 성장을 유지했으며, 인터넷과 관련 서비스업은 건전한 성장을 지속함

- 산업 인터넷은 디지털 전환의 핵심 방법론으로 응용수준이 제고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 온라인결제 등 서비스업의 디지털 전환도 가속화되고 있음

- 디지털 정부 서비스 효율이 한층 높아지고 스마트시티 건설을 통해 도시 특색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음

- 데이터 자원화, 데이터 자산화, 데이터 자본화 등을 실현하여 데이터 가치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

o 디지털 경제 핵심 조치

- 디지털 기술을 공략하고, 핵심기술 연구개발을 강화하는 등 기술 개발에 집중

- 디지털 산업 공급망을 구축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통해 산업 단지 수준을 향상

- 스마트 제조업을 발전시켜 제조기업이 산업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화 전환을 실현하고, 디지털 특화 산업단지와 제조업 클러스터를 육성하여 국제 경쟁력을 갖춘 디지털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

- 국가 데이터 통합 공유·개방 플랫폼을 구축하여 기업의 데이터 관리를 강화하도록 추진

- 디지털 경제 시장 기반제도 강화. 데이터 보안 관리 및 개인정보 보호법률 제도 개선 등을 통해 디지털 기능 교육을 강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