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이포스케시, 유럽 최대 세포유전자치료제 바이러스 벡터 CDMO로 포지셔닝
- 등록일2023-06-02
- 조회수274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3-05-26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이포스케시#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이포스케시, 유럽 최대 세포유전자치료제 바이러스 벡터 CDMO로 포지셔닝
◈본문
□ SK팜테코 자회사 이포스케시(Yposkesi) 렌티바이러스 벡터 생산 서비스 개시
- SK팜테코가 2021년 인수한 프랑스의 세포 및 유전자 치료 바이러스 벡터 생산 전문 CDMO인 이포스케시는 유럽 내 바이러스 벡터 최대 생산기업 중 하나임.
- 이포스케시는 인체 세포 내에 유전자를 전달하는 유전자 전달체(벡터)인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와 레트로바이러스(RV) 벡터 생산 플랫폼을 갖고 있으며, 지난달 4월 3일 렌티바이러스(LV) 벡터 생산 서비스인 LentiSureTM을 추가했다고 밝힘.
- 렌티바이러스 벡터는 유전자치료 및 세포기반 면역 항암제 전반에 걸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료 벡터로, CAR-T 임상시험의 경우를 보면 2015년 50개에서 2023년 250개의 임상에 렌티바이러스 벡터가 사용됨.
- 한편, SK팜테코는 이포스케시에 6천만 유로를 투자해 추가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있으며 해당 시설은 현재 적격성평가를 받고 있는 중으로 공식적으로 금년 6월 22일 가동될 예정임.
- SK(주)는 한국, 아일랜드, 미국에 분산된 생산법인 세곳을 2020년에 통합해 SK팜테코를 설립한 바 있음.
□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파이프라인의 75%가 LV 및 AAV 벡터 사용
- 재생의료연합(Alliance for Regenerative Medicine)이 최근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1670개 기업이 재생치료제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2220개 임상이 진행되고 있으며(이중 기업은 1070개 진행중), 2022년 한해 126억 달러가 투자됨.
- 임상 단계별로 보면 임상 1상 834개, 2상 1184개, 3상 202개 등 총 2220개의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음. 종류별로 보면 세포치료제(Cell Therapy) 1022개, 세포기반 면역항암제(CBIO, Cell Based Immuno-Oncology)가 783개, 유전자 치료제(Gene Therapy) 381개, 조직공학제제(Tissue Engineering) 34개임.
- 벡터가 사용되는 세포기반 면역항암제(CBIO) 및 유전자치료제를 보면, 렌티바이러스 235개, 아데노연관바이러스 129개, 레트로바이러스 67개, 비바이러스성 벡터 25개, 아데노바이러스 19개, 기타 바이러스 벡터가 13개 등 총 488개가 임상에 사용되고 있으며 렌티바이러스 및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 비중이 74.6%에 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