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국 건강식품 시장 동향

  • 등록일2023-06-20
  • 조회수316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 자료발간일
    2023-06-12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건강식품
  • 첨부파일

 

 

중국 건강식품 시장 동향

건강 관심 증대로 건강식품 수요 꾸준히 늘어나

성장세 따라 시장 세분화 예상, 명확한 시장 타겟팅 필요해

 

◈본문

 

기본정보 및 시장동향

상품명

HS코드

기본세율

한중FTA

RCEP

MFN

건강식품

210690.90

90%

18.4%

20%

12%

[자료: i-tong]


 

건강식품은 특정 효능효과를 지니거나 비타민·광물질 보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이다질병치료가 목적이 아니고 신체 영양소 보충 등이 목적인 만큼 급성·만성적 위해가 가해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중국에서는 근거에 따라 건강식품을 원료형태기능기준에 따라 구분하고 있다.

 


<건강식품 기준별 분류>

근거

분류기준

주요내용

중국 국내 산업현황 및 국제 관습

원료

비타민과 광물질천연 혹은 진귀한 식물이나 추출물유명한 중의약이나 약용가치가 있는 동식물해양생물 추출물 등을 원료로 제조한 식품

건강식품 비안 제품형태 및 기술요구(2021)

형태

알약하드캡슐연질캡슐복용액과립분말 등

2022 1월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공고

기능

면역력 증강수면개선간손상 보호보조골밀도 증가저산소증 저항개선피로개선눈피로 개선여드름 제거황갈반 제거피부수분 공급기억력 개선보조강혈당 보조항산화강혈압 보조다이어트빈혈개선소화촉진 등 기능을 포함한 식품

[자료관지해내정보망(观知海内信息网)]

 


중국의 빠른 고령화 추세 및 팬데믹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건강식품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의 데이터에 따르면건강식품 시장규모는 2017년 419억 위안에서 2022년 671억 위안으로 확대됐고연평균성장률은 9.9%를 기록했다아울러 향후 성장세는 지속되어 2023년 시장규모는 735억 위안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로컬브랜드 및 수입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각각 52%, 48%로 큰 차이가 나진 않는다로컬브랜드는 2017년 215억 위안 규모에서 2022년 349억 위안수입브랜드는 2017년 204억 위안에서 2022년 322억 위안으로 규모가 확대됐다더 나아가 2023년에는 로컬브랜드 383억 위안수입브랜드 352억 위안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 건강식품 시장규모 추이>

중국 건강식품 시장규모 추이

(단위억 위안)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