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88] 중국, 혁신 의약품 연구개발 위한 콜드체인 서비스 시장 동향
- 등록일2023-09-22
- 조회수2325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09-22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약품#의료기기#의료서비스#제약#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88(2023.09.18)
◈ 목차
◈ 포커스
- 중국, 혁신 의약품 연구개발 위한 콜드체인 서비스 시장 동향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미국 CVS Health, 자회사 Corvadis 설립해 바이오시밀러 시장 진출
- T2T 컨소시엄, Y염색체 전체 최초 해독
- 영국 의료기술 시장에서 기회 창출
- Roche, 항-TIGIT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 3상 비소폐소암 데이터 보고
- EC, 직장 내 유해의약품의 안전 관리를 위한 지침 발표
- 일본, 치매 원인물질 제거하는 알츠하이머 신약 ‘레카네맙’ 제조판매 승인
- 중국 쳰잔산업연구원, 의료기기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산업 동향 분석
- 아시아태평양 지역, 주요 화장품업체 상반기 매출실적 동향
◈ 의료서비스
- 미국 Medline社, ESG 보고서 발표
- 영국 DecodeME, ME·CFS 질환 여성은 더 많은 증상과 동반 질환 경험
- 아일랜드, 의료관광객에 여행 전 절차와 보호 조치에 대한 충분한 조사 촉구
- 튀르키예,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10%로 확대할 계획
- 아제르바이잔, 의료관광에 대한 유럽인의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
- 중국 쳰잔산업연구원, 건강보험 산업망 및 시장 동향 분석
- EUAA, 베트남 의료시스템에 관한 보고서 발표
- 르완다, 의료관광 허브로 도약을 준비
◈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예일大, AI와 웨어러블 장치 결합하여 수축기 심부전 감지
- Emory Healthcare, 생성형 AI 서비스를 위해 Epic 및 Abridge와 협력
- 독일 Bayer, Mahana와 디지털 치료제 상업화 계약 체결
- 스위스, 디지털 환자정보 기반으로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제공
- 싱가포르 의료기술기관 IHiS, 더 나은 치료를 위해 AI 활용
- 호주 연구진, 다른 AI로부터 2차 소견을 구할 수 있는 의료 스캔 AI 개발
- 뉴질랜드, 상호 운용성의 개선을 통한 환자 중심의 미래를 기대
- 원격의료 협력을 통해 아시아의 소외 지역에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본문
중국, 혁신 의약품 연구개발 위한 콜드체인 서비스 시장 동향
중국의 산업컨설팅기관 iResesearch 연구원은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의 혁신 의약품 연구개발 동향 및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서비스 산업 동향을 살펴보고 주요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 |
[1] 개요
●최근 의약품 및 치료 기술 혁신이 이루어지면서 바이오 의약품은 전 세계 제약 시장에서 지출 규모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동력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제약 R&D 국가인 중국 혁신 의약품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는 중
●신약 연구개발과 바이오 의약품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서비스 시장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바이오 제품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며, 혁신 의약품 연구개발에 따른 성장 잠재력도 나날이 증대
●이에 iResearch 연구원은 동 보고서를 통해 정책·수요·공급 등 측면에서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시장의 혁신 의약품 개발 관련 콜드체인서비스 시장의 발전 동향을 살펴보고 미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
[2] 바이오 의약품 시장 및 콜드체인 서비스 시장 동향
■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산업 발전 동향
●글로벌 의약품 시장의 지출 규모는 ’18~’22년 연평균 5.3%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며 ’22년 시장 규모는 약 1조 5,000억 달러 수준
●전체 의약품 시장 총 지출액의 약 30%를 차지하는 바이오 의약품 시장 규모는 4,310억 달러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3.8% 상승하여 글로벌 의약품 지출시장 규모를 꾸준히 증가시키는 데 기여
●바이오 의약품은 우수한 치료 효과와 안전성, 적은 부작용 등의 특징을 바탕으로 꾸준히 성장하여 ’27년경 6,660억 달러 규모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
●특히 최근 들어, 신규 의약품(ADC, PD-1 등) 및 치료기술(CAR-T) 등에 대한 제약사들의 대규모 R&D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21년 글로벌 제약 시장의 R&D 지출은 1,953억 달러를 기록
■ 중국 바이오 의약품 산업 발전 동향
●중국의 의약품 제조시장 및 유통시장 규모는 각각 2조 9,000억 위안, 2조 위안으로 최근 5년간 4.7%, 5.9%의 성장률을 보이며 안정적으로 성장
●혁신 의약품 및 혁신 의료기기의 빠른 발전에 힘입어 ’27년경 매출액 2,000만 위안 이상의 중국 의약품 제조기업 매출액은 연평균3.5% 성장한 3조 5,000억 위안, 유통기업의 매출액은 연평균 4.3% 성장한 2조 4,00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
●CAR-T 치료법, 단클론 항체, 백신 등 바이오 혁신 의약품이 꾸준히 개발됨에 따라 현재 40% 수준인 혁신 의약품의 시장 점유율은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며, 제약사들의 R&D 투자 등 영향으로 혁신 의약품 시장 규모는 ’18년의 5,018억 위안에서 ’22년 6,785억위안까지 상승하였고 ’26년에는 1조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기대
■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서비스 시장 규모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서비스는 R&D·생산·유통·샘플·시약 등 전체 프로세스와 관련되며, 글로벌 신약 R&D 투자 및 바이오 의약품 매출액 증가는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시장 확대를 견인
●서비스 제공기업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22년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서비스 시장 규모는 204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7년에는 244억 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기대
╶︎신약 R&D 콜드체인 서비스 시장 규모는 ’22년 기준 31억 5,00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15.5%를 차지하며, 향후 5년 내 글로벌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서비스 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27년에는 시장 점유율이 17.1%까지 확대될 전망
●중국의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서비스 산업 사슬은 △(업스트림)온도제어 박스 및 소재, 온도 모니터링 설비, 콜드체인 차량 등 설비제공기업 △(미들스트림)혁신 의약품 R&D 콜드체인 서비스, 바이오 제품 콜드체인 서비스, 의료기계 콜드체인 서비스 등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서비스 제공기업 △(다운스트림) 의료기관, 연구소, 의약 R&D 및 생산 기업, 도·소매상 등으로 구성
●중국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서비스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여 ’22년 기준 275억 위안을 돌파하였으며, ’22~’27년 연평균 8.4% 성장하여 ’27년에는 412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기대
[3]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서비스 시장 발전을 위한 제언
●혁신 의약품 R&D 과정에서 안전성에 대한 요건은 점점 강화되고 있으며, 이를 만족시키는 데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콜드체인 서비스 솔루션을 축적하기 위해서는 긴 시간과 큰 비용이 소요되고 인프라 확충 및 전문 서비스팀 육성을 위한 운영비용 필요하는 등 시장 진입 장벽이 존재
●(맞춤형 솔루션 및 고도의 전문성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 구비) 온도 관리 능력, 종합 솔루션 능력 등에 대한 높은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전문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여 경쟁력 강화
●(임상 공급망 관리를 통해 전체 산업사슬 서비스 역량 강화) 대조약 구매, 패키징, 라벨링 등을 포함하여 임상 전 과정과 관련된 공급망 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원스톱 서비스 제공
●(기타 시장 주체의 중국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서비스 체계 완비 참가 독려) 제3자 혁신 의약품 R&D 서비스 제공기업, 의약품 콜드체인 종합 물류 기업, 의약품 전문 유통기업 산하의 자회사 등 다양한 시장 참여자가 각각의 이점을 활용하여 협력하도록 장려함으로써 중국 바이오 의약품 콜드체인 서비스 시스템을 완비하고 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도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