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23 글로벌 제약바이오시장 수출지원 보고서(동남아)
- 등록일2023-12-04
- 조회수215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3-11-29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인도네시아#의약품#베트남#태국
2023 글로벌 제약바이오시장 수출지원 보고서(동남아)
◈ 목차
1. 동남아 개요
2. 인도네시아
2.1 국가개황
2.2 인도네시아 의약품 분류 및 규제기관 개요
2.3 인도네시아 의약품 시장 정보
2.4 인도네시아 의약품 수입 및 조달 시스템 정보
2.5 인도네시아 의약품 인허가 제도
2.6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인도네시아 진출 현황
2.7. 인도네시아 진출전략
3. 베트남
3.1 국가개황
3.2 베트남 의약품 분류 및 규제기관 개요
3.3 베트남 의약품 시장 정보
3.4. 베트남 의약품 수입 및 조달 시스템 정보
3.5. 베트남 의약품 인허가 제도
3.6.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베트남 진출 현황
3.7. 베트남 진출전략
4. 태국
4.1 국가개황
4.2 태국 의약품 분류 및 규제기관 개요
4.3 태국 의약품 시장 정보
4.4. 태국 의약품 수입 및 조달 시스템 정보
4.5. 태국 의약품 인허가 제도
4.7. 태국 진출 전략
◈본문
1. 동남아 개요
□ 동남아(Southeast Asia)는 크게 인도차이나반도와 말레이제도로 구성
○(주요 국가) 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육지부(인도차이나반도) 5개국: 베트남, 태국,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말레이제도 6개국(인도네이사, 말레이시아, 필리핀, 브루나이, 싱가포르, 동티모르)
○전체 면적은 약 449만㎢, 전체 인구는 약 6억 6,759만 명
╶︎인도네시아가 약 2억 7천만 명으로 가장 많고 브루나이가 43만 명으로 가장 적음
○숙련된 인력의 증가, 풍부한 천연자원, 무역 및 상업에 유리한 지리적 위치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EU, 미국, 중국에 이어 네 번째로 큰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
○한국과의 총 교역량은 2021년 기준 약 3조 3,500억 달러
╶︎수출 약 1조 7,400억 달러, 수입 약 1조 6,000억 달러(IMF)
□ `67년 8월 동남아 지역의 경제 성장, 사회 문화 발전 가속화를 위해 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설립, 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협력체계 구축
○(창설 배경) 베트남전 본격화, 인도차이나 공산주의 확산 등 국제정세 급변에 따른 공동 대응 필요성
╶︎1967년 5개국(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필리핀)이 외교장관회의를개최, ASEAN 창립 선언(방콕 선언) 발표
╶︎`84년 브루나이, `95년 베트남, `97년 라오스, 미얀마, `99년 캄보디아 가입으로 총 10개국 체제 유지
╶︎동남아 국가 중 유일한 미가입 국가였던 동티모르도 `22년 11월 열한 번째 회원국으로 받아들이기로 원칙적으로 합의
○(주요 목표) ①아세안 회원국 간 협력, ②아세안의 경제통합과 역동적인 발전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 ③지역 정체성 및 공동역사·문화에 기초한 아세안 공동체 구현및 ④대외지향적 아세안 실현
○`15년 12월 아세안 공동체(ASEAN Community) 공식 출범
╶︎정치‧안보 공동체(ASEAN Political-Security Community, APSC), 경제공동체(ASEAN Economic Community, AEC), 사회・문화 공동체(ASEAN SocioCultural Community, ASCC)로 구성
○(한국과의 관계) 1989년 대화 관계 수립 이후, 지난 30여 년간 지속적으로 정치, 안보, 경제 및 사회, 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관계 발전
╶︎미국, 중국, 일본, EU와 더불어 한국의 5대 교역시장 중 하나
⁎︎90년대 중반부터는 고도 경제성장으로 인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구매력상승으로 현지 내수시장을겨냥한 현지투자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
╶︎한·중·일 등과 함께 ASEAN+1 혹은 ASEAN+3 등과 같은 형태로 동아시아 경제협력 주도
□ 동남아는 세계에서 제약시장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 2015~2019년 동남아 제약시장 연평균 성장률은 약 8%
- 동일 기간 국내 제약시장 연평균 성장률은 5.3%
○ 코로나19 팬데믹은 동남아 지역의 제약 규제 조화를 가속화하고 지역 전체의 제약부문 개발을 촉진하여 인근 아시아 태평양(APAC) 시장의 제약 부문 기업들에 더 많은 기회를 창출
○ 동남아 주요 6개 국가의 제약 시장 규모는 약 200억 달러(한화 약 26조 원)
- 이 중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시장 규모가 약 40억~60억 달러
[ 동남아시아 의약품 매출(2022) ]
* 출처: Drugmakers To Increasingly Capture Southeast Asia's Pharmaceutical Market Opportunities, BMI, 23.05.09
2. 인도네시아
2.1 국가개황
□ 2019년 4월 대선에서 연임에 성공한 조코위(Joko Widodo) 대통령은 인적자원 역량 강화, 인프라 개발 지속, 규제 간소화, 행정 개혁, 혁신적 경제성장을 2기 정부의 주요 정책 과제로 선정하고, 경제 발전에 집중
○중앙통계국에 따르면, 화학·의약·전통 의약품 산업 총생산은 147억 8000만 달러로 1위인 식음료 산업에 이어 2위를 차지
○세계 인구 4위로 아세안 시장 점유율의 27%를 차지할 만큼 큰 제약 시장을 형성
○제약산업 매출은 `21년 약 30억 달러로 `21년~`25년 예상 연평균 성장률은 5.5%
╶︎인도네시아 국가산업개발 종합계획 2015-2035(Indonesian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Master Plan 2015-2035)에서 제약 산업을 국가 산업력 강화의'우선순위' 부문으로 선정
[ 인도네시아 국가개황 ]
일반현황 | 국명 | 인도네시아공화국 (Republic of Indonesia) |
독립입 | 1945년 8월 17일(네덜란드로부터 독립) | |
수도 | 자카르타(Jakarta, 약 1,046만 명) | |
기후 | 연대성 몬순기후, 고온다습 -연평균 기온 25~28°C(자카르타는 32~33°C), 습도 73~87% | |
면젹 | 191만 6,820㎢ (한반도의 약 9배) | |
인구 | 2억 7,485만 명 (2022, IMF) | |
종교 | 이슬람(87%), 개신교(7%), 천주교(3%), 힌두교(2%), 불교(1%) | |
민족 | 자바족(40%), 순다족(16%) 등 1,300여 종족 | |
언어 | 인도네시아어(공용어), 자바어 등 600여 지방어 | |
행정구역 | 38개 주(특별행정주 2개, 특별자치주 3개) | |
정부형태 | 공화국(대통령 중심제, 임기 5년, 연임은 1차에 한해 가능) 조코 위도도 (Joko Widodo) 대통령 (’19.10.20 재취임) | |
경제현황 | 화폐단위 | 루피아(Rp, 통화코드 IDR) |
환율 | 1달러 = 14,850루피아(2022년 평균, 세계은행) | |
GDP | 1조 3,188억$ (2022, IMF) | |
1인당 GDP | 4,798$ (2022, IMF) | |
경제 성장률 | 5.3% (2022, IMF) | |
교역규모 | 5,295억$ | |
수출 | 2,920억$ | |
수입 | 2,375억$ | |
한-인니 교역현황 | ▪︎ 수출액 : 102억$(주요 수출 품목 : 석유제품, 합성수지, 반도체, 철강판 등) ▪︎ 수입액 : 157억$(주요 수입 품목: 석탄, 천연가스, 동광, 암모니아수 등) |
* 출처: 외교부 홈페이지, 2023.08 접속/ KOTRA 홈페이지(국가지역정보), 2023.08 접속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