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이슈 브리핑] 후지필름, 유럽 최대 바이오 CDMO 공장 완공
- 등록일2024-02-13
- 조회수1959
- 분류산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4-01-29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후지필름#덴마크 바이오의약품#CDMO 공장
후지필름, 유럽 최대 바이오 CDMO 공장 완공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본문
□ 일본 후지필름 다이오신스, 덴마크 바이오의약품 CDMO 공장 추가 확장 완료
- Copenhagen Post, MEDWATCH 등 덴마크 현지 언론들은 1월 25일(목) 덴마크 힐러뢰드에 있는 일본 후지필름 다이오신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이하 ‘후지필름 다이오신스’) 대규모 투자 공장이 완공되었다고 보도함.
- 후지필름 다이오신스의 대규모 투자는 2022년 6월 발표된 것으로 생산 캐파 확장 으로 유럽 최대 바이오의약품 CDMO 공장이 되었으며 2024년 하반기 가동 예정 으로 덴마크 공장에는 2200명이 고용된다고 밝힘.
□ 일본 후지필름 다이오신스의 덴마크 바이오의약품 CDMO 공장 지속 확장 중
- 후지필름 다이오신스의 덴마크 공장은 미국 바이오젠社 소유였으나 2019년 8월 후지필름이 8억 9000만 달러(980억엔)에 인수함.
- 2020년 6월, 후지필름은 9억 2800만 달러(1000억엔)를 투자해 덴마크 공장에 6개의 2만 리터 바이오리액터를 추가해 총 12개의 2만 리터 바이오리액터를 보유하게 됨.
- 2022년 6월, 후지필름은 후지필름 다이오신스에 16억 달러(110억 덴마크 크로나)를 투자해 세포배양 제조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 투자는 덴마크 공장에 투자되고 일부는 미국 텍사스 공장에 투자된다고 밝힘. 특히, 이번 덴마크 공장 투 자를 통해 8개의 2만 리터 바이오리액터와 다운스트림 공정 스트림 2개를 추가함.
□ 이번에 16만 리터(8개 × 2만 리터)의 생산시설이 추가로 확장되어 총 40만 리터 바이 오리액터를 보유하게 된 후지필름 다이오신스 덴마크 공장은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CDMO 생산시설이 됨.
<참고자료>
1. Employees, stability and environment are crucial for Fujifilm's billion-dollar investment in Denmark, Medwatch, 2024.1.26.
2. Japanese biotech giant will bring thousands of jobs to Hillerød, 2024.1.26.
3. FUJIFILM Completes Acquisition of Biogen’s Manufacturing Site in Denmark, Fujifilm Diosynth Biotechnologies 보도자료, 2019.8.1.
4. FUJIFILM TO INVEST 100 BILLION YEN (928 MILLION USD) TO EXPAND ITS LARGE SCALE BIOLOGICS PRODUCTION FACILITY IN DENMARK, Fujifilm Diosynth Biotechnologies 보도자료, 2020.6.9.
5. Fujifilm to invest USD 1.6 billion to enhance and expand its global offering of cell culture manufacturing services, Fujifilm Diosynth Biotechnologies 보도자료, 2022.6.29.
6. FUJIFILM Diosynth Biotechnologies breaks ground on a USD 1.6 billion (11 billion Danish kroner) expansion in Hillerød, Denmark, Fujifilm Diosynth Biotechnologies 보도자료, 2022.9.12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02] 미국 제약사 J&J, MeiraGTx의 안과 질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투자
-
다음글
- 2023 국가별 보건산업 현황 보고서 - 북미·중남미 9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