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이슈 브리핑] 멕시코, 야심찬 바이오시밀러 육성전략 발표
- 등록일2024-03-05
- 조회수1519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2-21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멕시코#바이오시밀러#의약품#연방보건안전위원회
[이슈 브리핑] 멕시코, 야심찬 바이오시밀러 육성전략 발표
◈본문
□ 멕시코 연방보건안전위원회(COFEPRIS), 바이오시밀러 육성 전략 발표
- 2월 9일, 멕시코에서 의약품, 의료기기 및 화장품 등의 허가를 담당하는 연방보건안전위원회(COFEPRIS)는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규제 확실성을 보장하고 멕시코에서 대량 생산을 시작하기 위해 업계와 긴밀하게 협력할 계획이라고 발표함.
- COFEPRIS의 계획은 바이오시밀러의 개발을 촉진하고, 멕시코에 설립된 제조업체에 규제 확실성을 제공하는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강력한 제도 및 규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며,
연구 및 생산의 모든 단계에서 특정 규제 지원 전략을 통해 업계의 역량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힘.
- COFEPRIS는 두 개의 바이오시밀러 전문가 부서, 즉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규제 절차 간소화를 담당하는 ‘바이오시밀러 전문 부서’와,
현지 제조기업들과 바이오시밀러 개발 생태계 조성을 담당하는 ‘바이오시밀러 개발위원회’를 통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라고 밝힘.
□ 성장하는 멕시코 의약품 시장
- 2022년 멕시코 의약품 시장규모는 2021년 대비 6% 증가한 145억 달러에 달했음. 멕시코 정부는 복제약 의약품 옹호 정책을 시행하기에 특허 의약품을 대신해 저가의 복제 의약품 판매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멕시코는 중남미 국가에서 2번째로 큰 의약품 소비시장으로 글로벌 제약 기업들이 주목하는 시장 중 하나임. 산업의 주요 성장 요인으로는 만성질환자와 고령 인구 비중의 증가를 들 수 있음.
- 2022년 기준 멕시코의 의약품 수입액은 62억 5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으며, 주요 수입국은 미국 26%, 독일 13%, 프랑스 7% 순으로 우리나라는 수입국 중 11위로 시장 점유율 2.9%를 차지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03] 미국 FDA, 1분기에 알츠하이머 신약 등에 승인 여부 결정 예정
-
다음글
- [이슈 브리핑] 미국 FDA, 고형암 대상 세포치료제 최초 허가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