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캄보디아 의약품 시장동향
- 등록일2024-11-21
- 조회수52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4-11-07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캄보디아#의약품#의료#일반의약품#중산층
캄보디아 의약품 시장동향
■중산층 증가와 의료 인프라 확대로 성장하는 캄보디아 의약품 시장
■의약품의 80% 이상을 해외에 의존하는 캄보디아 시장,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갖춘 한국기업에 기회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 품명 |
3004.90 | 의약품(혼합한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치료용이나 예방용의 것으로서 일정한 투여량으로 한 것 또는 소매용 모양이나 포장으로 한 것) |
캄보디아 의약품 시장동향
캄보디아 의약품 시장은 최근 몇 년간 다양한 요인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경제 성장에 따라 의료 인프라와 서비스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이는 자연스럽게 의약품 수요의 증가로 이어졌다. 특히, 중산층의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품질 높은 의약품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캄보디아의 의약품 시장 매출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19가 정점에 이르렀던 2021년에는 지난해 대비 7.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유력 시장조사 기관인 FitchSolutions에 의하면, 2024년 캄보디아 의약품 매출은 지난해 대비 5.1% 증가한 3억95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매년 5% 내외의 증가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캄보디아 의약품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US$ 백만, %)
구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f | 2025f | 2026f | 2027f |
의약품 매출 | 311 | 334 | 355 | 376 | 395 | 414 | 433 | 453 |
의약품 매출 증가율 | 5.55 | 7.63 | 6.22 | 5.75 | 5.08 | 4.88 | 4.66 | 4.50 |
GDP 대비 의약품 매출 | 1.19 | 1.23 | 1.21 | 1.18 | 1.14 | 1.10 | 1.06 | 1.02 |
의료비 지출 대비 | 16.2 | 16.6 | 16.1 | 15.5 | 15.0 | 14.6 | 14.2 | 13.9 |
*주: f는 추정치
[자료: FitchSolutions]
캄보디아는 제약 산업 기반이 약해 의약품의 해외 수입 의존도가 높다. 전체 의약품의 81% 이상을 인도, 중국, 태국, 베트남 등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에서 수입 의약품의 비중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단, 불법 및 위조 위약품이 상당수 밀수·유통되면서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캄보디아 정부는 규제 강화를 비롯해 제품 검사와 약국에 대한 단속을 불시에 실시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캄보디아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처방전 없이 구매할 수 있고 가격도 저렴한 일반의약품(OTC)에 대한 선호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비타민 및 미네랄, 보충제, 진통제, 감기약 및 기침약에 대한 수요가 두드러지며, 이러한 일반의약품은 농촌 지역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어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 중요한 건강 관리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캄보디아의 상대적으로 개발되지 않은 의료 시스템과 농촌 지역의 낮은 의료 접근성, 규제 미흡 등은 일반의약품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국가 및 민간 건강보험의 보장 범위가 좁고, 병원 방문에 대한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에 캄보디아 소비자들은 가벼운 증상에 대해서는 일반의약품으로 자가 치료를 시도하려는 경향이 크다. 더불어 경제 성장과 젊은 인구층의 확대되면서 건강 관리 제품에 더 많은 지출을 할 여력이 생겼으며, 이로 인해 일반의약품 수요가 더욱 증대되고 있다.
<캄보디아 일반의약품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US$ 백만)
구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f | 2025f |
비타민 및 미네랄 | 31.52 | 33.68 | 37.22 | 42.83 | 47.34 | 51.81 |
진통제 | 24.58 | 23.00 | 25.92 | 27.72 | 30.18 | 33.05 |
감기약 및 기침약 | 21.82 | 21.00 | 23.49 | 24.88 | 26.95 | 29.38 |
소화제 및 장 치료제 | 13.06 | 11.78 | 12.81 | 13.19 | 13.87 | 14.68 |
피부약 | 10.42 | 9.46 | 10.64 | 11.37 | 12.39 | 13.57 |
기타 | 18.07 | 16.38 | 16.82 | 17.51 | 18.07 | 18.71 |
총계 | 119.50 | 115.30 | 126.90 | 137.50 | 148.80 | 161.20 |
*주: f는 추정치
[자료: Statista]
캄보디아 의약품 시장에서는 일반의약품 외에도 항당뇨제 매출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경제 성장 및 보건 서비스 개선으로 고령 인구가 많아지고 비전염성 질환 발병률이 높아지면서 항당뇨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다.
캄보디아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인구 중 60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08년 6.3%에서 2019년 8.9%로 증가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돼 고령 인구는 2030년에 13.7%, 2040년에 16.1%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 인구의 증가와 기대 수명 상승은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 환자의 증가를 의미하며, 이에 항당뇨제 시장 역시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캄보디아 당뇨병 유병률 및 항당뇨제 매출>
(단위: %, US$ 백만)
구분 | 2021 | 2022 | 2023 | 2024f | 2025f | 2026f |
당뇨병 유병률(20~79세) | 7.3 | 7.3 | 7.7 | 8.1 | 8.5 | 8.8 |
항당뇨제 매출 | 17.37 | 18.43 | 20.23 | 22.13 | 24.06 | 26.02 |
전체 의약품 매출 대비 항당뇨제 매출 비율 | 9.1 | 9.0 | 10.3 | 11.4 | 12.6 | 13.2 |
*주: f는 추정치
[자료: Statista]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멕시코 의료기기 시장동향
-
다음글
- 케냐 백신 시장동향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