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인프라동향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 전망과 인력 양성 과제

  • 등록일2024-05-10
  • 조회수1705
  • 분류인프라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4-12
  • 출처
    화학·바이오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마이크로바이옴#의약품#인력 양성
  • 첨부파일
    • pdf 2024년 1분기 이슈리포트_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 전망과 인... (다운로드 3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 전망과 인력 양성 과제

채정묵

 


◈본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 전망과 인력 양성 과제

  • −︎마이크로바이옴이란 몸 안에 사는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를 합친 말로, 특히, 휴먼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에 사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 각종 미생물과 그들의 유전체를 의미함.

  • −︎휴먼마이크로바이옴은 면역기능 활성화, 항산화물질 생산, 병원균 증식 억제 등 다양한 생리작용에 관여하고 있으며, 감염성질환 관련 장질환, 피부질환, 질염, 조산(早産)은 물론 암, 치매, 자폐증, 노화, 난임 등을 포함한 각종 만성 질병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짐.

  • −︎글로벌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은 2023년 2억 6,900만 달러에서 2029년 13억 7,000만달러 규모로 연평균 31.1%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촉진 요인: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산업계와 학계의 긴밀한 협력. 산업계는 자금, 기술,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고 학계는 최첨단 연구, 다양한 학문적 관점 제공 등의 협력으로 마이크로바이옴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과 혁신적인 치료법, 진단 및 맞춤형 의학의 발전에 기여

  • 제약 요인: 마이크로바이옴의 상업화에 대한 복잡한 규제 정책. 신규 플랫품임으로 승인 절차 및 소요 기간이 길고 높은 비용,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자료 요구 사항 등으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제품 및 치료법의 시기적절한 개발과 출시가 제약받을 수 있음.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한 주요 기반 기술

  • 마이크로바이옴 특성화를 위한 검증된 빅데이터 확보, 생물통계, 시각화 및 모델링기술, 신규 소재 발굴 및 표준화, 난배양/혐기성 균주 발굴 및 배양 기술, 합성생물학을 이용한 균주 엔지니어링 기술, 조작된 균주의 대규모 생산 기술, 마이크로바이옴 특이적 비임상/임상시험법 등

  • −︎인력 양성 과제

  • 주요 기반 기술을 구축하기 위한 전문 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

  • 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생물학, 미생물학, 분자생물학, 면역학, 세균학, 의학, 화학, 통계학, 생물공학, 생물정보학, 약학, 생물약학, 의과학, 규제과학 등 다양한 영역의 학과로 구성

  • 대학교 교육에서 어려운 영역의 경우, 연구기관 및 제약회사 등이 미생물군집연구 및 약물개발에 대한 전문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