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바이오의약품의 경구형 약물전달기술, 로봇 알약

  • 등록일2015-07-13
  • 조회수8907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발간일
    2015-07-13
  • 키워드
    #바이오의약#약물전달#로봇알약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15-56(15.7.9)●바이오의약품 경구형 약물전달기술, 로... (다운로드 17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5-56

바이오의약품의 경구형 약물전달기술, 로봇 알약


◇ 최근 글로벌 빅파마인 노바티스(Novartis)가 바이오의약품의 경구형 전달을 위해 로봇 알약 기술을 보유한 라니 테라퓨틱스(Rani Therapeutics)와 제휴를 체결(2015.5), 헬스케어 분야에서 트렌드로 자리 잡은 바이오의약품 개발 지원 차원에서 관련 내용을 정리


■ 로봇 알약(Robotic Pills) 기술 개요

 ○ 주사제를 대체할 수 있는 삼키는 로봇 알약, 주사로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여해야하는 만성질환자의 고통 감소와 사용 편리성에 장점

  - 체내에서 흡수가 가능한 설탕 바늘(약 성분 포함)이 소장에 도착하면 소장 막 외부의 혈관 근처에서 용해되도록 설계 

* 라니는 구글 벤처스 등 글로벌 기술 업체들의 후원 아래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다발성 경화증에 대해 주사용 의약품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로봇 알약 기술을 개발 중


<로봇 알약 작용 개념도>


20150713_132019.jpg


출처: The Wall Street Journal, Can 'Robotic' Pills Replace Injections?, 2014.2; Rani Therapeutics 홈페이지



 노바티스·라니, 로봇 알약 기술개발 제휴

 ○ 노바티스는 라니 테라퓨틱스와의 제휴를 통해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로봇 알약이라는 스마트 기술에 투자를 하기로 결정(2015.5.28)

  - 바이오의약품을 경구로 전달하는 방법은 제약산업에서 오랜 숙제로 인식

* 바이오의약품은 항체, 호르몬 등 단백질로 구성되어 분자의 크기가 크고 체내의 소화기관에서 위산 등에 의해 파괴되기 때문에 경구약 제작이 어려워 보통 주사로 투여

  - 라니는 향후 18∼24개월 동안 노바티스가 선택한 바이오의약품을 로봇 알약 기술로 전달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할 계획

* 노바티스는 프로테우스 디지털헬스와의 계약(2010.1)을 통해 마이크로칩이 부착된 스마트 알약 개발 사업에 진출했으며, 구글과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 관리를 지원하고 눈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콘텍트렌즈를 개발 계약도 체결(2014.7)


스마트 알약, 디지털 알약 관련 기술개발 동향


◈ 미국의 프로테우스 디지털헬스(Proteus Digital Health)의 디지털 알약 기술 

☞ 디지털 알약을 섭취해 의사와 환자가 양방향으로 건강정보를 전달하고 체크 받을 수 있는 센서 삽입형 알약에 대해서 미국 FDA 승인 획득(2012.8)

    * 마그네슘과 구리로 덮인 센서는 위액과 반응해 전기를 생산하고 알약의 소화시간을 나타내는 신호를 웨어러블 패치로 전송, 패치의 정보는 블루투스를 이용해 환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


☞ 프로테우스의 디지털 알약 헬리우스(Helius)는 메드스케이프(Medscape)가 선정한 9대 혁신 의료기기 중 하나로 선정(2015.4)


◈ 이스라엘의 기븐 이미징(Given Imaging)의 필캠(PillCam) 기술

☞ 소장 내시경인 필캠 SB2(PillCam SB2)에 대해 미국 FDA 승인 획득(2007.5)

    * 기븐 이미징은 알약 형태의 삼킬 수 있는 캡슐형 내시경인 필캠(PillCam)을 이용해 소화계를 시각화, 진단 및 검사하는 기술을 보유한 회사


  ☞ 대장 내시경인 필캠 콜론(PillCam Colon)에 대해 미국 FDA 승인 획득(2014.2)

    * 불완전한 대장 내시경을 받은 환자의 대장 용종을 확인하는데 사용(미국의 경우 매년 75만명 정도가 불완전한 대장 내시경으로 인해 추가적인 비용을 들여 위험성이 있는 다른 시술을 받아옴)


   ※ 의료기기 제조사인 코비디엔(Covidien)이 기븐 이미징을 8.6억달러(약 9,000억원)에 매입(2014.3)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 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