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3D 프린팅 의약품, 미국 FDA 최초 승인

  • 등록일2015-10-26
  • 조회수5766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제품 > 바이오의약
  • 발간일
    2015-10-20
  • 키워드
    #3차원#프린팅#의약#신약#미국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5-83

3D 프린팅 의약품, 미국 FDA 최초 승인

 

◇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된 의약품 스프리탐(Spritam)*이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음에 따라 관련 내용 정리
 * 소아 및 성인 간질환자들의 발작 치료제


■ 아프레시아(Aprecia Pharmaceuticals)의 독자적인 집도즈 기술 플랫폼(ZipDose® Technology platform)을 이용하여 제작


 ○ 집도즈 기술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소량의 액체로 빠르게 분해될 수 있는 다공성 제형의 의약품을 생산하는 기술
    * 3D 프린팅 기술의 장점 : 한정 당 정확한 용량 함유가 가능하다는 점, 한정 당 1,000mg까지 고용량을 포함시킬 수 있는 점, 입안에서 신속하게 용해된다는 점


  - 관련기술로 개발된 의약품은 효율적인 약물전달이 가능하여 지속적인 약 복용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 환자나 아동 환자에게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
    * 현재 미국에 약 300만명의 간질환자가 있고 그 중 46만명이 아동 환자로 집계되고 있으며, 71%의 환자가 지속적인 약 복용의 어려움을 겪음. 또한 간질치료제 복용 지속성이 떨어지는 환자는 발작 발생빈도가 훨씬 높게 나타남


■ 3D 프린팅 기술이 의료기기 등에 허가되었지만, 의약품 승인은 첫 사례


 ○ FDA 허가를 받은 스프리탐은 2016년 초부터 미국 시장에 발매될 예정
  - 이번 허가를 바탕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관련 시장 활성화 전망


★ 아프레시아의 집도즈 기술 플랫폼(ZipDose® Technology platform)

 

 

◈ 집도즈 기술은 3D 프린팅 기술이 접목된 약물 제형화 기술
☞ 이 기술을 통해 기존 의약품보다 복용이 쉬운 의약품을 대량으로 생산 가능
    * 아프레시아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의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집도즈 기술을 개발하였고, 의약품 제조의 3D 프린팅 기술에 대한 독자적 기계설비를 세계적으로 허가를 받음
☞ 향후 다양한 의약품 제조에 집도즈 기술을적용할 예정

 11111111.jpg

 

 

 

출처 : Aprecia Pharmaceuticals, FDA Approves the First 3D Printed Drug Product, 2015.8.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 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