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미국 NIH · FDA의 유전자치료제 규제 완화 방침

  • 등록일2018-09-10
  • 조회수6242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기타 > 기타
  • 발간일
    2018-09-04
  • 키워드
    #유전자치료제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8-65
미국 NIH · FDA의 유전자치료제 규제 완화 방침


◇ 미국 NIH, FDA의 두 기관장은 유전자치료제를 다른 의약품과 같은 수준으로 규제할 방침이라고 저널 기고문을 통해 발표(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8.8.15.). 지난 40년간 유전자치료제 임상시험 시 추가적으로 특별 관리감독을 위해 운영되었던 RAC(재조합 DNA 자문위원회, 1974년 구성)의 역할은 유전체 편집, 합성생물학 등 신생 생명공학 분야의 자문역할로 조정될 예정


    ▸주요 출처 :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NEJM), The Next Phase of Human Gene-Therapy Oversight, 2018.8.15.; 바이오스펙테이터, [김태형의 게놈이야기] 美 유전자 치료제 규제완화 의미, 2018.8.20.; NIH, Statement on modernizing human gene therapy oversight, 2018.8.16

 

■ 미국의 유전자치료제(Gene therapy) 개발은 1990년 최초의 임상시험이 시작되어 2017년 최초로 유전자치료제(킴리아 등 3개) 승인 


 ○ 인간 유전자치료제는 50여 년 전부터 그 가능성을 인식해 왔으며, DNA 재조합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면서 이 기술의 윤리적・법적 및 사회적 영향에 관한 논란이 지속
   - 1974년 NIH는 DNA 조작과 관련된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는 연구에 관한 조언을 얻기 위해 재조합 DNA 자문위원회(Recombinant DNA Advisory Committee, RAC)를 설립
   - 이후 인간의 질병치료를 위한 유전자치료제 프로토콜 검토 및 토론을 포함 하도록 범위가 확대


 ○ 1990년 9월 NIH 임상센터에서 Adenosine Deaminase Deficiency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미국 최초의 유전자치료제 임상시험이 실시
   - 초기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에서 안전성과 효능에 대해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였지만, 주요한 안전문제는 보고되지 않았고 그 가능성을 인정받아 이후 유전자치료제 관련 임상시험은 꾸준히 증가


 ○ 하지만 1999년 유전자치료제 임상시험 과정에서 제시 겔싱거(Jesse Gelsinger) 라는 환자(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가 전신 면역반응으로 사망
   - 사망 사건을 계기로 미국 등 각국은 유전자치료제 임상시험에 대한 공개 토론과 규제 감독 강화에 초점을 맞추는 등 엄격한 기준을 마련
    ※ 이후 과학적 연구를 통해 치료대상 질병의 생리, 다양한 유전자 전달방법, 잠재적 부작용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고, 유전자 안전성 및 전달 효율에 진전을 보임


 ○ 획기적인 과학적, 임상적 발전으로 유전자치료제는 신규 유망치료제로 발전. 2017년 미국 FDA는 최초로 3개의 유전자치료제 ’킴리아(Kymriah), 예스카타(Yescarta)’, ‘럭스터나(Luxturna)’를 승인
   - CAR-T 치료제인 킴리아, 예스카타는 임상시험에서 현저한 항암효능을 입증
   - 럭스터나는 RPE65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망막질환을 치료하는 것으로 생체 내 투여될 수 있는 최초의 유전자치료제로 승인

 

 미국 NIH와 FDA는 40년간 유지해 온 유전자치료제 특별 관리감독(RAC)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발표(2018.8.15) 


 ○ RAC의 관리감독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거나 역할을 제한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유전자치료제를 다른 의약품과 같은 수준으로 규제하기로 방향을 설정
   - 이러한 발표의 배경으로 NIH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S. Collins) 원장과 FDA 스콧 고틀리브(Scott Gottlieb) 국장은 “이 분야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고,
   - FDA가 현재 700개 이상의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연구용 신약 프로그램(investigational new drug applications, INDs)을 보유함에 따라 유전자치료가 많은 질병 치료의 주류가 될 날을 상상하는 것은 합리적이다"고 말함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