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중국 생명공학분야 기술동향조사 보고서

  • 등록일1999-05-30
  • 조회수1122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1999-05-30
  • 출처
    중국 생명공학기술조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명공학분야#중국
  • 첨부파일


중국 생명공학분야 기술동향조사 보고서

중국 생명공학기술조사단


<목차>


  1. 중국 생명공학기술조사의 개요 1
    1. 조사내용
    2. 조사단 구성
    3. 주요 방분기관 및 일정
  2. 조사결과 요약
  3. 조사결과 주요내용
    1. 중국 생명공학 R&D 및 정책부문 조사결과
    2. 산업 현황 및 협력 방안 조사
    3. 주요 수집자료 List
  4. 건의사항 22

Ⅰ. 중국 생명공학기술조사의 개요


1. 조사내용


  • 중국의 생명공학정책 동향 및 산업기술현황 조사

    • 생명공학 육성정책의 동향조사

    • 생명공학 연구개발 및 산업 현황조사

    • 생명공학분야 연구기관 및 기업간 협력 방안 조사



2. 조사단 구성

성 명 소 속 직 위 비 고
박영훈 생명공학연구소 실용화연구사업단장 단장
조장현 과학기술부
/연구개발2담당관실
주사 정책
구본탁 (주)한국미생물기술 사장 산업
김수동 (주)쎌바이오텍 연구소장 산업
신수정 서울대학교 연구원 정책
김흥열 생명공학연구소 기술원 정책



3. 주요 방문기관 및 일정 (1999.5.30~6.8)

5월 30일 (일요일)  서울 → 북경
5월 31일 (월요일)  China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Development(CNCBD)
 중국과학원 미생물연구소
6월 01일 (화요일)  중국북경농업대학 식품학원
 중미합자 KRAFT 식품유한공사
6월 02일 (수요일)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NNSFC; National Natural Science Foundation of China)
6월 03일 (목요일)  북경 → 부한
 Huazhong (화중)농업대학
6월 04일 (금요일)  Wuhan Virus Research Institute
 Bt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re
  • Wuhan 주정부인사와의 면담
    Vice Director of Hubei Provincial Sciences and Technology Commission
6월 05일 (토요일)  부한 → 심천
6월 06일 (일요일)  휴식
6월 07일 (월요일)  중국광심제약공사
6월 08일 (화요일)  귀국(심천 ㅡ 홍콩 ㅡ 서울)



Ⅱ. 조사결과 요약


  • 본 중국기술조사단은 중국의 생명공학 R&D 및 육성정책과 산업화 동향을 조사할 목적으로 구성되어 `99년 5월 30일 - 6월 8일까지 9박 10일간 북경, 우한, 심천 지역을 중심으로 중국 현지 조사를 추진하였음.

  • 조사단원으로는 연구계, 학계 전문가 및 정부실무자를 비롯하여 특히 산업계인사(유산균제품 및 Bt제 전문가)를 참여시켜 Business를 염두에 두고 동 분야에서의 중국의 기술력을 가늠하고 국내 기업과의 협력가능성을 탐색하는 것도 주요한 목적의 하나였음.

  • 조사결과 중국정부는 국가발전을 위한 8대 주요기술분야의 하나로 생명공학을 선정하는 등 생명공학 연구 및 개발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주목하고 있었음.

  • 특히 중국에 있어 생명공학 연구를 지원하는 핵심적인 국가 R&D 프로그램으로는 "863 Program“, "Key Tech. Program” 등 2가지이며, NNSFC가 지원하는 기초생명과학연구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 이들 3개 프로그램에서 생명공학 연구비는 `96~2000년까지 1억 6000만 $로서 년평균 투자규모(3,200만$)면에서는 한국의 관련분야 투자의 1/3정도이지만, 863 프로그램 총투자액의 15%, NNSFC 지원과제의 약 13%-15%가 생명공학분야에 투자되고 있어 국가 전체 R&D에서 생명공학이 차지하는 지위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음

  • 한편 생명공학분야 연구인력은 2만 ~ 2만5천으로 추정되며, 중국 제약관련기업(약 6000개) 중 450개 정도가 생명공학기업으로서, 인력규모에 있어서는 우리나라(`97 3,200명)의 7.8배, 기업수(국내 150개)로는 3배 이상의 기반을 확보하고 있음

  • 중국 생명공학 육성정책 추진에 있어 중국 과학기술부 산하의 China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Development(CNCBD)가 R&D 및 규제정책등 관련 국가 생명공학 정책전반을 종합조정하고 조직화하고 있다는 점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함

    • CNCBD는 중국 정부 과학기술부 직속기관으로서 국가 생명공학정책개발, 국가 프로그램의 종합조정 및 추진, 국제협력, 연구결과의 상업화 지원 등 4대 역할을 중심으로 중국 생명공학 육성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CNCBD에는 현재 중국과 유럽간 생명공학협력센터가 설립되어 있는 등 국제협력에 있어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

  • 우리나라에서도 이와같이 생명공학 관련분야 국가 R&D 사업 및 정책방안 전반의 종합/조정에 있어 공공연구기관을 활용하는 방안을 보다 강화하는 등의 System을 고려해 봄직 하다고 생각됨

  • 생명공학에 있어 중국의 강점분야는 특히 농업생명공학분야인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중국과의 생명공학 국제협력을 추진함에 있어 농업생명공학분야에 있어서의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판된됨. 예를들어 중국은 `96년 세계 LMOs 재배면적의 39%인 280만 에이커를 점유함으로써 미국(360만 에이커, 51%)에 이서 세계 제2의 LMOs 상업재배 국가임

  • 한편, 본 조사단의 조사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대표적인 생물농약인 Bt(Bacillus thuringiensis)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도 중국의 기술경쟁력은 세계적인 것으로 파악되었음. 특히 중국내 대학(Huazhong 농업대학)과 Bt 생산 공장들간의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활성이 우수한 산업균주에 대한 개발 결과 등이 신속히 산업화에 응용되는 체제를 갖추고 있음. 오랜 기간(30년 이상)의 탐색 연구를 통해 Bt와 관련한 풍부한 미생물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Huazhong 농업대학 Bt 연구의 가장 경쟁력 있는 부문으로 평가될 수 있음.

  • 유산균과 관련된 정보 수집은 용의하지 않았음. 다만 China Agricultural University Dept. of Food Nutrition and Biotechnology 방문시 Mr. Yunbo Luo, Ms. Ping Lan Li 교수를 면담하여 우리나라의 관련기업을 중심으로 균주를 제공하고 중국농과대학 식품부에서 이를 분석하여 중국인의 섭식에 적합한지 등을 분석하여 알려주면 한국내에서 상품화하여 수출하는 등의 협력방안을 추후 논의키로 하였음.

    • 미진한 자료는 심천시 인민정부 과학기술국 회계재무처 Ms. Tu Han를 통하여 심천 지역내의 유산균 관련 정장제 등의 사용 업체나 제약회사의 조사가 가능하다고 함. 이에 따라 자료 조사를 요청함.

  • 마지막으로 본조사단은 Wuhan지역 방문중 호북성 주정부로부터 공식적인 국제협력 제안을 받았음. (면담자 : Mr. 석상문/호북성 과기위 부위원장, Mr. Chen Maosheng/국제 협력 수석담당관. Ms. Wang A-Jie/주정부 과학분과 대외 협력국 소속)

    • 면담자에 따르면 호북성 주정부는 역내에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외 생명공학관련 기관 및 업체 유치를 고려하고 있음. 특히 구체적 제품을 공동으로 연구개발 및 산업화하기 위한 Joint-Venture 형태의 한국기업 참여를 공식으로 제안하였음. 따라서 정부차원에서 이에 대한 공식적인 후속조치가 요망되는 바임

  • 참고로 방문기관의 주요 면담자들은 본 조사단의 방문취지와 목적을 사전에 숙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종종 있었으며, 사전자료 준비가 전반적으로 미비하였음. 향후 후속 조사연구를 추진할 경우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사전에 방문 예정기관에 직접 조사내용을 통보하는 식의 방편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사려됨


. . . . . . . . .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