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중국의 정밀의료기술 발전 동향
- 등록일2016-09-19
- 조회수752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8-31
-
출처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정밀의료기술
- 첨부파일
출처 :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중국의 정밀의료기술 발전 동향
저자 : 윤대상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장)
목차
Ⅰ. 정밀의료시대 도래
Ⅱ. 중국의 정밀의료 정책
Ⅲ. 중국의 정밀의료 산업동향
Ⅳ. 결론 및 시사점
Ⅰ. 정밀의료시대 도래
■ 20세기 전통의료시대에서 21세기 정밀의료시대로 전환중
○ 인간게놈 염기서열 해독기술, 바이오의학 분석기술과 빅데이터 분석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새로운 의료건강시대인 “정밀의료시대”로 전환 중
- 미국, 프랑스, 영국, 호주 등의 선진국은 이런 추세에 부응하여 정밀의료계획 잇달아 발표
* (예시) 미국의 “Precision Medicine Initiative”(2.5억달러/‘15.1), 프랑스의 “France Genomic Medicine 2025”(6.7억유로/‘15.6 ), 호주의 “Zero Childhood Cancer Initiative”(2천만 호주달러/‘16.5)
■ 중국도 정밀의료시대에 부응하여 대책 수립
○ 중국정부는 21세기 초부터 정밀의학의 발전을 지속적으로 주목해오다가 미국 등 선진국이 동 분야 계획을 발표하자 최근 정밀의료계획 본격 가동
- 시진핑 주석의 지시에 따라 19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국가정밀의료전략전문가위원회” 구성(‘15.2)
- 과기부 주도로 최초의 “정밀의료전략전문가회의” 개최, ‘30년까지 정밀의료 분야 600억 위안의 투입 결정(중앙재정 200억, 기업 및 지방 400억)(‘15.3)
- 과기부와 위생계획생육위원회에서 중국과학원 등 부처와 공동으로 정밀의료연구계획 제정사업 본격 착수(‘15.4)
- 과기부에서 “정밀의료연구” 중점 전문프로젝트(2016-2020년) 최초로 발표(‘16.3)
■유전자분석 비교우위가 뚜렷한 중국의 정밀의료산업
○ 현재 중국의 유전자분석 기반 정밀치료의 기술기반은 주로 유전자분석, 데이터분석 및 임상응용 3개 단계로 구성
은 비교적 성숙되어 산업 발전의 수요를 기본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반면, 데이터 분석과 임상치료 분야에서는 아직 선진국과의 격차가 큼
- [유전자 분석] 글로벌 선두주자업체인 華大基因(BGI)사, 貝瑞和康(Berry Genomics) 등의 활약으로 연 평균 20% 이상의 고속 성장률 유지
* 단 유전자분석에 필요한 분석기와 시제 등은 거의 대부분 Illumina사 등 해외업체에 의존
- [데이터 분석] 榮之聯(United Electronics)사 등 전문적인 바이오정보업체들이 일부 시장만 확보하고 있지만, 현재 확장 발전하는 양상
- [임상 치료] 종양 정밀진료, 유전질환 진단 등 4개 분야의 임상시범이 초기 단계이지만, 자원의 집중도가 높아 비교우위 발전 전망
Ⅱ. 중국의 정밀의료 정책
■ 밀도 높은 다양한 정책 힘입어 선진국과 같은 출발선에 위치
○ 유전자 염기서열 측정기술의 임상응용 규범화 착수
- [이중 관리] 관련 기기설비의 인허가는 국가식약품감독관리국(CFDA), 임상용 관련 기술의 인허가는 국가위생계획생육위원회(NHFPC)에서 총괄 결정(‘14.2)
- [시범 추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술의 임상응용 시범기관 선정 관련 통지》등을 발표해 임상응용 규범화 착수(‘14.3)
* 임상응용 분야(유전성 질환 진단, 출산전 선별과 검진, 착상전 배아 유전검진, 종양진료 4개)와 응용시범기관 선정
- [표준 제정] 《약물대사효소와 약물작용 타깃의 유전자분석기술 지침(시행)》 및 《종양 맞춤형 치료 분석기술 지침(시행)》등 발표(‘15.7)

○ 다양한 응용시범 사업을 통해 상용화 촉진 예정
- [상용화 촉진]《신흥산업 중대공정의 실시를 위한 통지》를 발표해 유전질환 및 출생결함 유전자 선별을 중심으로 유전자분석기술의 보급과 상용화 촉진
*‘17년까지 유전자분석기술 응용시범센터 30개 구축 예정
- [시범기관 지정] “맞춤형 의학 분석 시범기관” (3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술 임상응용시범기관” (7개), “출산전 검진 임상응용시범기관” (109개), “착상전 배아 유전진단 임상응용시범기관”(13개), “종양 진료 임상임용시범기관”(20개) 등 이미 지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국제공동연구 사업군 특정평가
-
다음글
- 인체감염병대응 사업군 특정평가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