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중국 과학기술·신산업 혁신 역량 분석 ② 중국의 3D 프린팅 굴기와 한국의 대응 전략
- 등록일2019-08-14
- 조회수488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8-06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3D프린팅#과학기술
- 첨부파일
중국 과학기술·신산업 혁신 역량 분석
② 중국의 3D 프린팅 굴기와 한국의 대응 전략
[목차]
요약
Ⅰ. 서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중국의 3D 프린팅 정책 특성
Ⅲ. 중국의 3D 프린팅 산업 경쟁력
Ⅳ. 중국의 3D 프린팅 기술 경쟁력
Ⅴ. 결론
[요약]
□ 중국 3D 프린팅 산업 분석의 필요성
○ 3D 프린팅이란 프린터 기술로 재료를 결합하여 3D 모델 데이터로부터 물체를 제조하는 과정으로 분말 형태의 금속 또는 비금속 소재를 활용해 적층방식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적층가공(addictive manufacturing)이라고도 함
- 3D 프린팅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이 지속되고 있으며 생산 공정 간소화 및 설계 혁신, 공정 효율성 제고를 위해 한국과 중국, 세계 주요 선진국들이 적극 육성하고 있음
○3D 프린팅은 제조공정부터 항공·우주, 바이오까지 적용범위가 광범위하고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유망분야로 중국은 1980년대 말부터 3D 프린팅에 대한 연구 개발과 상용화를 지원해옴
- 중국정부는 산업 육성 정책과 개방적 규제 및 전폭적 보조금 지원을 바탕으로 제조 업의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공격적인 기술 개발과 특허 출원을 통해 3D 프린팅 분야의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임
- 하지만 여전히 선도기업과의 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중국의 3D 프린팅 정책, 산업, 기술 경쟁력 분석을 통한 한국의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함
□중국의 3D 프린팅 정책
○2015년에 발표된 ‘국가 3D 프린팅 산업 발전 추진계획’을 시작으로 2017년에만 약 6건의 정책이 발표되는 등 단기간에 중앙정부의 정책이 집중적으로 발표되었으며 앞으로도 중국 정부의 3D 프린팅 산업 육성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조건에 부합하는 3D 프린팅 장비를 국가 중대 기술 장비에 포함시켜 지원하고 보조금을 포함한 세제 혜택을 제공하며, 경쟁력을 갖춘 해외 기업과의 경쟁에서 반독점 및 반 덤핑 등의 수단을 동원해 자국 기업을 보호하고 있음
○‘중국제조 2025’는 2015년과 2017년 두 차례 분야별 기술로드맵을 발표했으며, 이 중 3D 프린팅과 관련된 기술로드맵은 2015년과 2017년간에 큰 차이가 없어 뚜렷한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음
○이 외에도 지역별 맞춤형 3D 프린팅 육성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고 3D 프린팅 산업단지 및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인공지능 기반 3D프린팅 기술 및 생체의료분야 적용 기술동향 2024-04-19
- BioINwatch Bio-inspired 기술 : 3D 프린팅 기술과 전자 센서로 식물의 생장 메커니즘을 모방한 로봇 2024-01-26
- BioINpro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3년 해외 바이오 정책 동향 2023-03-13
- BioINwatch 중국, 우주생물학 실험플랫폼에서 연구 수행 2022-07-01
- BioINwatch 중국, 유전자편집 작물 승인에 관한 예비지침 발표 2022-04-05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