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21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언택트 시대의 10대 미래유망기술)

  • 등록일2021-02-15
  • 조회수541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1-29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래유망기술#KISTEP#언택트 시대
  • 첨부파일

 

2021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언택트 시대의 10대 미래유망기술)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목표 및 내용 
 제3절 연구방법 및 추진체계

제2장 선행연구 고찰 
 제1절 국외 
  1. MIT : “10 Breakthrough Technologies”
  2. WEF : “TOP 10 Emerging Technologies” 
  3. Gartner :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
  4. IBM : “5 in 5” 
 제2절 국내 
  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10대 유망기술”
  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 “10대 유망기술” 
  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바이오 10대 미래유망기술”

제3장 KISTEP 10대 미래유망기술
 제1절 미래이슈 선정
 제2절 미래유망기술 후보군 발굴 
 제3절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제4절 10대 미래유망기술의 현재와 미래
  1. 비침습 생체정보 기반의 심혈관 질환 관리 기술 
  2. 교통약자를 위한 Level 4 자율주행 자동차
  3. LXP 기반의 개인 맞춤형 큐레이션 기술
  4. 자율주행 기반의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서비스
  5. 지능형 엣지(Edge) 컴퓨팅
  6. 인터페이스의 벽을 허무는 ‘Beyond Screen’ 기술 
  7. VR/홀로그램 기반 실시간 협업 플랫폼
  8. 초연결 시대의 사이버 지킴이, 인공지능 보안기술
  9. 비대면 초실감 미디어 제작 및 중계 기술
  10. 온라인 쇼핑 쓰레기를 줄이는 녹색 포장 기술

제4장 결론
 제1절 요약 및 결론
 제2절 시사점
참고문헌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코로나바이러스-19(이하 COVID-19)의 창궐로 글로벌 경제가 급격히 침체되고, 위험이 일상화되는 뉴노멀 시대 도래
ㅇ 2019년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발생된 COVID-19로 인해 약 5.78천만명이 감염되었으며, 1.3백만명이 사망에 이름
ㅇ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3월 홍콩독감(1998) 및 신종플루(2009)에 이어 세 번째로 글로벌 팬더믹(대유행)을 선언
ㅇ 국제통화기금(IMF)은 2020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4.4%로 전망하였으며, COVID-19는 항공, 무역 및 제조 등 산업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침
ㅇ 사회적 거리두기, 원격 수업, 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 비대면사회로 전환되었으며, 위험의 일상화를 겪고 있음

3.JPG


□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도 과학기술은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인공지능과 데이터 경제의 발달 등으로 인해 기술이 기술을 발전시키는 시대가 도래할 전망
ㅇ 농업혁명에서 산업혁명으로 전환하는데 8천년이 걸렸으나, 달 착륙, 인터넷 활용, 인간 유전자 이해 등을 위해 소요된 시간은 10~100년으로 대폭 줄어듦

4.JPG

ㅇ 인공지능 인덱스 2019(AI Index 2019)에 따르면 AI의 발전 속도는 3~4개월만에 2배씩 증가, AI ImageNet 훈련 소요시간도 2년 사이에 1/180로 단축되고 있음

5.JPG


□ 뉴노멀 시대를 맞이하여 다양한 미래사회 이슈에 선제적・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래 예측 및 선택과 집중의 전략 마련 필요
ㅇ 미래는 복잡(complexity)하고 불확실한(uncertainty) 영역이기 때문에 다양한 관점에서 변화모습을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과정이 요구됨
ㅇ 미래예측을 통해 다양한 기회요인과 위협요인들을 조망해보고, 긍정적 요소는 촉진하고 부정적 요소에 대해서는 회피 또는 대응전략 마련 필요

제2절 연구의 목표 및 내용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핵심 트렌드 또는 변화로 인해 발생 가능한 경제・사회・환경적 미래이슈를 전망하고, 향후 10년 내 대응할 수 있는 Breakthrough 기술을 발굴하는 것임
ㅇ 미래유망기술의 목표 시점과 유형은 향후 10년 내 연구개발(R&D) 단계가 마무리되고, 시장에 변혁을 가져올 수 있는 기술로 정의함
ㅇ 미래이슈 대응형 10대 유망기술을 발표함으로써 정책입안자, 사업 기획 담당자, 민간기업 등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심층분석 자료를 제공

6.JP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