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연구중심병원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연구중심병원을 넘어 혁신병원으로의 이행
- 등록일2022-05-26
- 조회수3322
- 분류정책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
자료발간일
2022-05-19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KHIDI#연구중심병원#정책과제#혁신
- 첨부파일
연구중심병원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 연구중심병원을 넘어 혁신병원으로의 이행
◈목차
제1장 연구 목적 및 방법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연구 배경
1.2.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2.1. 연구 범위
2.2. 연구 방법
제2장 국내 병원 및 보건산업분야 창업기업의 일반 특성
1. 국내 병원의 일반 특성
2. 보건산업분야 창업기업의 일반 특성
2.1. 보건산업분야 창업자의 특성
2.2. 보건산업분야 창업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 및 규모 특성
2.3. 보건산업분야 창업기업의 경영성과 특성
2.4. 보건산업분야 창업기업의 창업지원 정책 수요
제3장 병원 역할의 진화
1. 대학 진화 경로와 시사점
2. 병원의 진화를 유인하기 위한 기반 마련 노력
3. 병원의 혁신 역량
3.1 병원의 국가연구개발과제 수행 현황
3.2 병원의 국가연구개발과제 수행 성과
3.3 병원의 기타 성과
4. 연구중심병원 역할의 진화에 대한 인식
5. 연구중심병원 육성을 위한 혁신지원체계
6. 연구중심병원 혁신지원조직에 대한 만족도
제4장 연구중심병원 기반 창업의 특성
1. 창업기업의 일반 특성
2. 연구중심병원 기반 창업기업의 차별성
3. 창업 과정에서의 애로 요인
4. 창업자의 역할 및 이에 대한 인식
제5장 연구중심병원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1. 연구중심병원의 법인화
1.1. 배경 및 필요성
1.2. 정책과제 및 기대 효과
2. 연구중심병원의 전담 혁신지원조직 구축 강화
2.1. 배경 및 필요성
2.2. 정책과제 및 기대 효과
3. 연구중심병원의 연구역량 제고를 위한 연구인력 강화
3.1. 배경 및 필요성
3.2. 정책과제 및 기대 효과
4. 연구중심병원의 역할 변화 유인을 위한 재정지원 강화
4.1. 배경 및 필요성
4.2. 정책과제 및 기대 효과
5. 기타 정책과제
5.1. 연구중심병원의 혁신 활동 보장을 위한 제도 기반 마련
5.2. 의료 질 평가지원금 제도와의 연계 강화
제6장 결론 및 의의
▪ 참고문헌
▪ [별첨 1] 연구중심병원 기반 창업자 대상 서면 인터뷰
▪ [별첨 2] 연구중심병원 발전 방안 마련을 위한
인터뷰 주요 질의 내용(안)
◈본문
요약문
□ 연구 목적과 방법
바이오헬스 분야 기술 역량의 축적 그리고 자본시장의 활성화 등 다양한 요소들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바이오헬스산업의 성장과 신성장 동력으로써의 이 분야에 대한 성장 기대가 커가면서, 혁신 활동 주체로서 병원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증대되고 있다. 이는 그동안 국가혁신시스템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에서 주요 혁신주체로서 산·학·연만을 중심으로 주목해 온 것과는 사뭇 다른 근래에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과 영국 등 주요국들은 국가혁신시스템에서 병원의 역할 강화를 위한 정책을 공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실례로 우리나라는 2013년부터 연구중심병원 사업을, 미국은 2006년부터 CTSA (the 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 Award) 사업을 그리고 영국은 2009년부터 AHSC (Academic Health Science Centre) 사업 추진을 통해 산·학·연·병 협력체계 강화를 기반으로 병원 중심의 중개연구 활성화를 통해 산출된 양질의 연구성과를 기술이전 등을 통한 기술사업화에 활용하고, 궁극적으론 병원 중심의 산·학·연·병 협력기반 바이오헬스 기술·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헬스 기술·산업 생태계에서 병원이 가지는 역할의 중요성에 비해 그간 혁신 주체로서의 병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병원 역할의 진화를 통해 진료중심 병원에서 연구수행을 통해 축적한 연구성과를 창업과 기술사업화 등의 혁신 활동에 활발하게 활용하는 혁신병원에 도달하는데 있어서, 우리나라 병원 특히 연구중심병원의 발전 방안을 마련하고자 추진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 병원이 혁신병원으로 역할의 진화를 유인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연구중심병원 사업을 중심으로 그간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현재의 상태를 심층 분석하여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주요 이슈들을 바탕으로 주요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4개의 주요 정책과제와 부수적인 2개 정책과제를 발굴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번 연구는 총 6개 장으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제1장에서는 연구 배경 설명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이에 따른 연구의 목적을 밝혔으며, 제1장 2절에서는 이번 연구의 범위 및 연구수행 절차 등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 국내 병원과 보건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일반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특히 보건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특성은 일반 창업기업의 특성과 비교를 통해 그 고유의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제3장은 국내 병원 진화의 특성 분석을 위해 국내 대학의 진화 경로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실제 국내 병원의 혁신역량 수준에 대해 국가연구개발과제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중심병원의 혁신지원체계에 대한 분석과 함께 인터뷰를 통해 국내 병원 역할의 진화에 대한 인식 및 혁신지원체계에 대한 만족도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연구중심병원 기반으로 창업의 특성 파악을 위해 인터뷰를 통해 창업 과정에서의 애로 요인과 창업자의 역할 및 그 역할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2장부터 제4장까지 연구성과의 능동적 활용을 위한 병원 역할의 진화과정에서 파악된 이슈를 중심으로 이의 해결을 위한 네 가지 주요 정책과제와 부수적인 기타 정책과제 두 가지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의 이번 연구의 함의에 대해 간략하게 다루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