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한림연구보고서 144] 포스트 플라스틱시대를 위한 정책 제안
- 등록일2023-01-13
- 조회수2512
- 분류정책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환경기술
-
자료발간일
2022-12-29
-
출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플라스틱#생분해#탄소중립#사회문제
[한림연구보고서 144] 포스트 플라스틱시대를 위한 정책 제안
◈ 목차
I. 플라스틱문명시대의 향유와 폐단
1. 플라스틱산업의 태동과 현황
2.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
3. 新 글로벌 플라스틱협약을 위한 UN의 로드맵
Ⅱ. 세계의 순환경제 탄소중립전략
1. 전 세계 2050 탄소중립 장기전략 수립 가속화
2.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장기전략 수립
3.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의 중요성
Ⅲ. 세계 주요 국가의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대책
1. 주요 국가의 플라스틱 규제 현황
2.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3. 폐플라스틱의 처리 현황
4. 대체물질로서 바이오플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역할
Ⅳ. 해외의 바이오플라스틱산업 동향
1. 생분해성 플라스틱들의 기술적 특성
2. 바이오플라스틱의 세계적 시장 동향
Ⅴ. 국내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산업 동향
Ⅵ. 국내 폐플라스틱 관리 및 정책
1. 폐플라스틱 발생 및 처리 상황
2. 폐기물 및 폐플라스틱 관리 정책
3. 플라스틱 폐기물 정책의 타당성
Ⅶ. 포스트 플라스틱 시대의 환경정책과 과학기술정책 제안
◈본문
I. 플라스틱문명시대의 향유와 폐단
1. 플라스틱산업의 태동과 현황
▮ 고분자란?
· 모든 생명체는 고분자(polymer)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사용하여 생명을 유지함. 동식물의 유전자인 DNA, 단백질과 탄수화물 등 생명유지활동과 관련된 에너지원 대부분이 고분자임.
· 고분자는 수천 개에서 수십만 개의 단량체(monomer)라고 하는 작은 분자들이 화학적 결합반응 (중합반응: polymerization reaction)을 통하여 연결된 크기가 매우 큰 거대분자(macromolecule)를 말함. 한편 단량체가 수십・수백 개 연결된 것을 올리고머(oligomer)라 함(van Krevelen, 2009).
· 고분자는 단백질, 셀룰로오스, 천연고무, 실크 등 자연계에서 존재하는 천연고분자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스터(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 인공적으로 만든 합성고분자로 구분할 수 있음.
· 합성고분자 화합물을 합성수지로 부르고 플라스틱과 혼용하여 사용해 왔음. 그러나 오늘날 합성수지는 원료적 의미를, 플라스틱은 제품적 의미를 갖는 용어로 쓰이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