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미래 30년을 대비하는 과학기술전략
- 등록일2025-01-07
- 조회수762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12-19
-
출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래#과학기술#전략
미래 30년을 대비하는 과학기술전략
한림연구보고서 155
◈ 목차
⑴ 서론
⑵ 미래를 대비하는 과학기술과 정책
⑶ 인공지능의 활용과 공존
⑷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
⑸ 넥스트 팬데믹에 대한 대응
⑹ 결론
◈본문
■ 서론
현대 과학이 발전하면서, 과학의 발전은 고도의 기술 발전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면서 사회가 발전해 오고 있다.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증기기관에 기반한 기계화 혁명(1차 산업혁명), 전기에너지에 기반한 대량생산 혁명(2차 산업혁명), 컴퓨터와 인터넷 기반의 정보화 혁명(3차 산업혁명), 인공지능과 융합기술 등에 기반한 초지능 초연결 혁명(4차 산업혁명)으로 이어지는 발전을 이루고 있다.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산업이 발전하고, 이로 인하여 인류의 삶이 더 건강하고, 편리하고, 즐거운 방향으로 변모해 왔다. 하지만 이와 더불어 환경 문제, 에너지 문제, 고령화 문제, 새로운 질병 문제 등 인류가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들도 함께 발생하고 있다.
이에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는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긍정적인 면과 이와 함께 동반될 부정적인 면에 대해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본 보고서를 기획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림원 내의 기획·정책위원회에서 논의를 시작하였다. 기획·정책위원회는 기획·정책 담당 부원장, 정책연구소장 및 5개 학부 학부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본 보고서가 담을 주제를 선정하기 위하여, 미래 변화에 대한 과학기술적 대응 및 각 학부의 세부 학문 분야가 모두 포함될 수 있는 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에 기획·정책위원회에서는 과학기술의 거시적 측면에서 앞으로의 30년 동안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여겨지는 3가지 주제인 ① 인공지능의 활용과 공존, ②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 ③ 넥스트 팬데믹에 대한 대응을 대상 분야로 선정하였다. 각 주제에 대하여 본 보고서에 포함할 내용으로는 각 세부 분야의 현재 발전 상황과 미래 발전에 대한 예측뿐만 아니라, 현재 각 주요국들이 해당 분야의 발전을 위하여 수행하고 있는 과학기술정책을 파악하여 기술하고, 이에 대비하여 우리나라가 펼쳐나가야 할 정책 방향도 제시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세부 분야별 내용에 앞서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포괄적 파트를 통해 국가전략기술의 중요성, 미래 과학기술정책 방향 및 한림원의 역할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 였으며, 이 파트는 한림원 정책연구소에서 담당하여 집필하기로 하였다.
본 보고서의 발간을 추진하기 위해 정책학부, 이학부, 공학부, 농수산학부, 의약학부가 공동으로 협력하여 ‘인공지능의 활용과 공존’,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 ‘넥스트 팬데믹에 대한 대응’ 등 주제의 집필에 참여할 회원 및 전문가를 섭외하였다. 한림원 회원 및 관련 분야 전문가 등 7~10인 내외로 3가지 주제에 대한 집필진을 구성한 후, 각 분야별 착수회의와 중간점검회의를 통하여 보고서 작성 형식 및 내용을 논의하였다. 논의된 보고서 작성 방법에 의거하여 집필자들은 원고 초안을 작성하였고, 원고 초안에 대한 관련 분야의 전문가 자문 및 검토 의견을 받아서 이를 반영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후속 작업으로 편집 및 감수 과정을 거친 후에 최종 보고서를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