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백악관, 우주 산업 경쟁력・의약품 공급 회복력 제고를 위한 행정명령 발표

  • 등록일2025-09-16
  • 조회수15
  • 분류정책동향 > 종합 > 종합

 

 

백악관, 우주 산업 경쟁력・의약품 공급 회복력 제고를 위한 행정명령 발표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94호

 

◈ 목차

Ⅰ 이슈 분석............1


주요국의 AI 연구기반 구축 현황과 시사점


Ⅱ 주요 동향...........16


1. 과학기술

백악관, 우주 산업 경쟁력・의약품 공급 회복력 제고를 위한 행정명령 발표

ITIF, GLP-1의 혁신적 잠재력 분석

RAND 연구소, 인공지능 도입에 따른 거시경제적 효과 분석

일본 경제산업성, 지역 산학협력 거점 실태 분석

영국 CST, 자주적인 AI 칩(Chip) 설계 산업 구축에 대해 제언

영국 하원 도서관, 데이터센터 현황 및 관련 정책 이슈 보고서 발간

OECD, AI 모델의 개방성에 관한 보고서 발표

APEC, 에너지 부문에서 AI 잠재력 분석을 통한 정책 옵션 제안


2. ICT.................37

싱가포르, 글로벌 기업들의 ‘풀스택 AI 허브’로 부상

TSMC, 2나노 반도체 기술 유출 적발, 법적 조치 착수

미국 상업용 드론 규제 완화, 중국 견제와 산업 주도권 확보 노력

글로벌 데이터 경제의 핵심 인프라, 데이터 마켓플레이스의 부상


Ⅲ 단신 동향............51

1. 해외

2. 국내


Ⅳ 주요 통계............65

 

 

◈본문

Ⅰ. 주요국의 AI 연구기반 구축 현황과 시사점


○ AI 초격차 시대, AI 연구를 위한 자원 확보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

  • 고성능 AI 모델의 개발・활용에는 막대한 연산자원과 데이터 활용 기반 확보가 필수적이며, 이는 국가 단위의 AI 경쟁력 우위를 좌우하는 결정적 요소로 작용

  • →︎자체 개발 AI 또는 글로벌 AI 모델을 자국 내에서 훈련・운영할 수 있는 대용량・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을 위해 국가 차원의 대규모 투자가 필요

  • 또한, 단순 기술 개발을 넘어 지속적인 국가 AI 역량 축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책・산업・인재를 결합한 AI 연구생태계 조성・활성화가 중요


○ 이에 따라, 주요국은 AI컴퓨팅 자원 확보 전략과 국가 단위 AI 연구조직 중심의 허브 구축 지원을 병행하여 추진 중

  • 미국, 영국, 캐나다, 일본, UAE 등은 AI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해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과 대규모 데이터센터 건설을 촉진하며 전략적으로 대

  • 더하여 정부 주도 또는 민・관 협력형 국가 AI 연구조직을 설립하고, 이를 중심으로 AI 산업 생태계를 형성하며 AI 연구개발을 집중 지원 중

○ 특히, 각국의 국가 AI 연구소는 자국 내 AI 연구자의 역량 집약을 위해 AI 정책・ 산업・인재를 연결하는 ‘국가 AI 허브’로서의 진화를 도모

  • 미국, 영국, 캐나다 등 국가별 AI 연구소는 연구자가 모이고 기업이 협력하는 AI 중심 복합 생태계의 거점 역할을 이행

  • →︎미국은 국립과학재단(NSF)을 중심으로 현재 27개의 국립 AI 연구소를 운영 중이며, 연구・창업・교육을 연계한 통합형 생태계 구축에 기여

  • →︎영국의 앨런튜링연구소, 캐나다의 벡터・Mila・Amii 등은 대학・정부・민간이 연계된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AI 전문 연구, 고급인재 양성, 국제협력 등을 지원

  • 또한 독자적 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한 다학제적 융합 연구를 통해 헬스케어, 기후, 에너지, 디지털 휴먼 등 산업 전반으로의 AI 확산을 촉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