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혈액제제 규제 동향 정보집
- 등록일2021-12-30
- 조회수4325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11-30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혈액제제#병원체#의약품
- 첨부파일
혈액제제 규제 동향 정보집
◈목차
1.개요
2.혈액제제의 혈액제제의 국내외 현황
2.1. 혈액제제
2.2. 국내외 혈액제제 현황
2.3. 국내 규제 규제 현황
2.4. 국외 규제 규제 현황
3. 혈액제제의 국제 국제 개발 동향
3.1. 병원체 불활화 기술
3.2. 변형 혈액 제제
4. 참고문헌
◈본문
1. 개요
혈액제제는 사람의 혈액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의약품으로서, 다양한 분리 방법과 추가적인 공정등의 제조과정을 거쳐 생산되고 관리되는 의약품이다. 혈액제제는 대량 생산하는 다른 의약품과 달리 헌혈자로부터 제공받은 혈액으로 제조하므로 한정된 수량을 생산하고, 혈액매개 감염인 자 검사를 통해 품질관리를 하는 등 사람 혈액 유래의 약품의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혈액제제 특성에 맞는 연구개발 및 허가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혈액제제는 혈액 사업 규제상황에 따라 관리 대상및 관리 체계가 나라마다 다르고,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혈액 사업 정책의 변화가 있을 수있으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동향 파악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른 법적 지원이 동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수혈용혈액제제와 혈장 분획제제의 품질관리 시주의 사항및 제제별 제조 방법및 시험기준, 저장 방법등에 대해 최신 기술및 정책동향을 반영하여 지속적인 개정이 필요한 상태이다.
또한 최근 다양한 형태의 특수혈액제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 처음 제조하여 수혈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생물학적 제제 등의 품목 허가 •심사 규정(식품의 약품 안전처고시)」에 따라 신약과 동등한 수준의 허가 자료 제출이 필요한 상태이며, 변형된(modified)수혈용혈액제제의 경우도 현규정적용에 따른 규제로 국내 도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정보집은 국내 혈액제제 허가 심사관리 체계 개선및 발전을 위하여 해외혈액제제 허가 심사관리 체계및 새로운 혈액제제 등에 대한 해외허가 사항및 기준에 대한 조사를 통해 국내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있도록 식품의 약품 안전처에서 적극적으로 수행한 용역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마련되었다.
2. 혈액제제의 국내외 현황
혈액은 고형성분으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으며, 액상성분으로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응고성 단백 성분 등으로 구성된 혈장이있다. 각각의 성 분들은 신체내에서 산소운반, 신체방어, 지혈 등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헌혈받은 혈액은 다양한 분리 공정 등의 제조과정을 거쳐 수혈용 혈액제제(Blood compo nents)와 혈장분획제제(Plasma Derived Me dicinal Product. PDMP) 치료제생산을 위한 분획용혈장(원료혈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