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생물의약품]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동향 정보집(면역증강제, 면역대리표지자)
- 등록일2023-01-03
- 조회수3691
- 분류제도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2-12-30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의약품#백신
바이오의약품 정보자료집
백신 유효성 평가를 위한 면역 대리표지자 정보집
◈ 목차
⑴ 결핵
⑵ B형간염
⑶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⑷ 폴리오
⑸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⑹ 페구균
⑺ 홍역, 볼거리, 풍진
⑻ 수두
⑼ 대상포진
⑽ 일본뇌염
⑾ 인플루엔자
⑿ A형 간염
⒀ 로타바이러스감염증
⒁ 인유두종
⒂ 수막구균
◈본문
1. 결핵 (Tuberculosis)
1.1. 결핵에 대한 면역반응
1.1.1. 균
결핵은 항산 간균인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한 질환이다.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M.tuberculosis complex에는 결핵균을 포함하여 M.bovis, M.Africanum, M.microti, M.canetti가 있으며 이 중 결핵균이 인체에 결핵 질환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세포벽에 지질이 많기 때문에 항체와 보체의 살균작용에 저항성을 가진다. 성장은 느려서 세포세대 시간은 12-24시간이다. 비결핵 항산균(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에 의한 감염은 면역 기능이 정상인 개체에서 폐의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고 주로 림프절 종대를 야기한다.
1.1.2. 면역 반응
결핵균은 독성이 없는 세포 내 병원균으로 세포 및 체액면역반응을 모두 자극하는데, 활성화된 T세포의 특이성과 그 기능에 따라 방어적으로 또는 병적으로 작용한다. 방어기전에는 interferon (IFN)-γ 생성 CD4+ T세포를 포함하는 Th1 T세포가 관여한다. IFN-γ는 대식세포 방어면역의 중추 역할을 하며, 결핵균으로 자극된 혈액의 IFN-γ 생성 정도를 측정하여 방어력의 여부 판정에 사용되기도 한다. MHC Class I CD8+ T세포도 방어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항체는 감염 후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역할은 더 밝혀져야 한다. 결핵의 병리기전 즉, 결핵으로의 진행은 Th2 반응이나 Th1과 Th2의 혼합반응과 관련이 있다.
특징적으로 강한 T세포 매개 지연 과민반응은 감염된 대식세포를 죽이고 숙주 조직에 광범위한 괴사를 일으킨다. 결핵균의 항원에 대한 반응으로 항염증성 싸이토카인이 생성되어 면역반응을 하향 조정(down regulation)하여 Th2반응으로 인한 조직 손상을 제한한다. Mycobacteria에 대한 세포면역에 특이하게 관여하는 유전 인자에는 interleukin 12 receptor B1과 IFN-γ receptor 1 chain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염이 조절되면 결핵균은 숙주 조직에서 잠복 상태로 남아있게 되며, HIV감염 등과 같은 면역결핍이 초래되면 잠복상태의 결핵균이 활성화되는데, 정확한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다. 재활성(reactivation)에 대한 면역기전의 이해는 미래의 치료적 결핵 백신 개발의 근간이 될 것이다.
1.2. 결핵 백신
1.2.1. 백신 개발 과정
1.2.1.1. BCG의 역사
1908년 프랑스의 Calmette와 Guerin이 결핵 유방염을 앓고 있는 소에서 M.bovis를 얻어 13년간 매 3주마다 총 231번을 계대 배양하여 독성이 소실된 M.bovis를 1921년 사람에게 처음 접종하면서 BCG의 사용이 시작되었다. 1948년 1차 세계BCG회의에서 BCG백신의 안정성과 효과가 천명된 이후 1966년에 세계보건기구는 냉동건조 BCG를 개발하였고, 1974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개발도상국에서 결핵을 퇴치하기 위한 BCG 백신 접종을 예방접종 확대사업에 포함시켜 매년 1억명 이상의 소아에게 접종하고 있다.
BCG의 첫 기원 균주는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보관하고 있다가 2차 세계대전 이후 소실되었다. 소실되기 전 여러 국가의 실험실로 분배되었는데, 각 실험실에 따라 배양조건이 달라 균주의 생장
특징, 생화학적 성질, 지연반응에 대한 능력, 동물에 대한 독성이 달라진 여러 파생 BCG를 세계보건기구가 표준화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많이 접종하는 백신 균주는 Danish(Copenhagen) 1331, Tokyo 172, Glaxo 1077, Russian, Moreau, Pasteur 1173 P2등으로, 이중 Danish 1331, Tokyo 172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1.2.1.2. 우리나라 BCG 접종사
우리나라에서는 1952년부터 일본결핵예방회에서 제조한 건조 BCG를 전국의 학생과 군인에게 접종하면서 사용이 시작되었다. 이후 1962년부터 1977년까지는 Pasteur 균주 액체 BCG를 우리나라에서 생산하였고, 1979년부터 1990년까지는 액체 BCG를 사용기간이 긴 Pasteur 균주 냉동 건조 BCG로 제품을 개선하여 보건소 및 병의원에 전량 무료 공급하여 접종하였다. 1990년 이후로는 정부의 수입 자유화 조치 이후 Pasteur균주 이외의 BCG를 제약회사에서 수입하기 시작하여 1990년대에 한시적이지만 수 년간 Copenhagen 균주인 Pasteur Merieux Serums & Vaccines사의 제품이 사용된 적이 있고, 현재 접종하고 있는 경피용 Tokyo균주는 1993년부터 사용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