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첨단바이오포커스 제34호] 국내 다발골수종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하는 카빅티주(CARVYKTI)
- 등록일2023-10-24
- 조회수2519
- 분류제도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3-10-20
-
출처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과학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자치료제#첨단바이오의약품#의료제품#의약품#첨단재생의료
[첨단바이오포커스 제34호]
국내 다발골수종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하는 카빅티주(CARVYKTI)
◈ 목차
국내동향
• 식약처, '유전자치료제 비임상시험 평가 가이드라인' 개정 안내
• 식약처, 의료제품 개발 상담사례집 개정
• 복지부, 2023년 제9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 개최
• 식약처,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지원을 위한 현장 소통
• 복지부, 제4차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자 간담회 개최
• 식약처,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 최신 국제기준 반영 추진
• 식약처, '첨단바이오의약품의 품목허가·심사 규정' 일부개정고시안 행정예고
주요국 동향
미국
• FDA, 세포, 조직 및 유전자치료 자문 위원회(CTGTAC, Cellular, Tissue, and Gene Therapies Advisory Committee) 회의 개최 공지
• FDA, "Application of Human Factors Engineering Principles for Combination Products: Questions and Answers" 가이던스 발표
• OTP, "Nonclinical Assessment of Cell and Gene Therapy Products" 관련 타운홀 미팅 녹화 영상 공개
• TP, "Warrior Families: Advancing Regenerative Medicine Through Science" 웨비나 개최 안내
• CBER, OTP Learn course 업데이트
• OTP, "User Fee Billable Biologic Products and Potencies Approved Under Section 351 of PHS Act" 리스트 업데이트
• FDA, PDUFA 적용 제품의 신청자 또는 후원자와의 공식 미팅 개최 관련 가이던스 초안 공개
• CBER, 생물학적 제제 및 HCT/P 일탈 보고서 업데이트
유럽
• EMA, CAT(Committee for Advanced Therapies) 9월 월간 회의 의제
• EMA, CHMP(Committee for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 9월 월간 회의 의제
• EMA, 부속서 업데이트를 위한 변경 통보가 필요한 통합절차 승인 의약품 목록 공개
• EMA, 희귀의약품 지정(Orphan designation) 의약품 중 첨단치료의약품 정보 업데이트 3건
• EPAR(European Public Assessment Report) 업데이트 1건
일본
• PMDA, 가공세포 등 개발 중지 신고 양식 업데이트
• MHLW, 제88회 후생과학심의회 재생의료 등 평가부회 개최
• PMDA, 재생의료 등 제품 정보 업데이트 3건
• PMDA, 재생의료 등 제품 사전평가 상담 접수방법 게재
• PMDA, 제2회 표적특이성 in vivo 유전자치료제의 벡터에 관한 평가 방안 전문위원회 관련 자료 게재
• PMDA, 재생의료 등 제품의 결함이 의심되는 증례보고 정보 공개
• PMDA Updates(2023년 9월호) 게재
• PMDA, 재생의료 등 제품의 인도적 관점에서 실시되는 치험 정보 업데이트
Key Issue
"국내 다발골수종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하는 카빅티주(CARVYKTI)"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은 골수에서 면역체계를 담당하는 형질세포(Plasma Cell)가 비정상적으로 분화, 증식하여 발생하는 혈액질환으로, 아직 정확한 발병 원인은 밝혀지진 않았다. 국내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의 다발골수종 발생 환자는 2020년 기준 전체 암 발생 환자의 0.7%, 다발골수종 유병 환자는 전체 암환자의 0.6%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되었지만, 재발 위험과 기존 치료제의 불응성이 높아 완치가 어려운 다발골수종은 최근 키메라 항원 수용체 T(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 CAR-T) 세포 치료제의 개발로 치료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전에 프로테아좀억제제, 면역조절제제, 항-CD38 항체를 포함하여 적어도 4가지 치료를 받은 재발 또는 불응성 다발골수종의 치료를 위해 개발된 '카빅티주(Carvykti, 일반명 ciltacabtagene autoleucel)'가 국내에선 2023년 3월 16일에 희귀의약품으로 시판허가 받았다. 이번 Key issue에서는 국내 다발골수종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 '카빅티주'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본문
이달의 Key Issue
희귀·난치질환자에게 혁신적인 의료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있는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시장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재생의료연합(Alliance for Regenerative Medicine)이 공개한 세포·유전자치료제 부문의 2023년 1분기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1,687건의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중 122건이 시판허가의 마지막 관문인 임상 3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 된다.
국내에서도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첨단재생바이오법')이 제정('19.8.) 및 시행('20.8.) 된 이후, 2022년까지 총 18개의 세포·유전자치료제가 허가되었다. 이처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첨단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 기술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식약처는 최근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지원(Global Innovative products on Fast Track) 프로그램을 신설했을 뿐만 아니라, 첨단바이오의약품 관련 법률 및 가이드라인들을 지속적으로 정비·운영 중이다.
이번 Key issue에서는 국내에서 첫번째로 2023년에 허가된 다발골수종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 이하 CAR-T) 치료제 '카빅티주(CARVYKTI, 일반명 ciltacabtagene autoleucel) 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
다발골수종(MM)은 희귀 혈액질환으로 전체 암 환자의 1%, 혈액암(hematological malignancy) 환자의 10%를 차지하는 두 번째로 흔한 혈액암으로, 2022년 12월에 발표된 국내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국내 다발골수종 유병 환자는 10만 명당 10.7명으로 전체 암 유병 환자의 약 0.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발골수종의 발병 원인은 방사선(치료용 제외), 산업용/농업용 독소, 유전적 요인 등이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대표적인 증상은 빈혈(70%), 뼈 통증(58%), 피로(32%), 체중 감소(25%)이고 종종 신장 기능 손상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다발골수종을 진단하기 위해 임상 화학 검사(혈액, 뇨 등)나 골수 생검을 통한 세포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하고, 방사선 검사를 통해 다발골수종으로 인한 뼈의 변화를 관찰하여 진단과 병기를 확인한다. 다발골수종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스테로이드제(steroid), 알킬화제제(alkylator), 프로테아좀억제제(proteasome inhibitor), 면역조절제제(immunomodulatory drug),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 drug conjugates),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 투여 및 자가·동종조혈모세포이식(autologous·allogeneic transplant) 등이 있다(표 1). 여전히 완치가 어려운 병으로 알려져 있는 다발골수종은 최근까지도 활발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미국 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5년 상대 생존율이 20년 동안 약 2배 가까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RVYKTI
카빅티주(CARVYKTI, ciltacabtagene autoleucel)는 Janssen Biotech, Inc.에서 개발한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로, 이전에 프로테아좀억제제(proteasome inhibitor), 면역조절제제(immunomodulatory drug), 항-CD38 단일클론 항체(anti-CD38 monoclonal antibody)를 포함하여 적어도 4가지 치료를 받은 재발 또는 불응성 다발골수종의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다. 카빅티주는 미국 FDA에서 희귀의약품(Orphan Drug Designation), 혁신신약(Breakthrough Therapy Designation)으로 지정되어 2022년 2월에 최초로 허가받은 것을 시작으로, 유럽(2022년 5월)과 일본(2022년 9월) 등에서 허가받았다. 국내에서는 2023년 3월에 허가를 받아 국내 다발골수종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23년 10월 현재 급여 등재 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정책동향 식약처,‘2025 CELL-UP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지원사업 캘린더’배포(상반기 업데이트) (’25.2.28.) 2025-04-25
- 정책동향 식약처, ‘2025 CELL-UP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지원사업 캘린더’ 배포 (’25.1.3.) 2025-04-21
- 제도동향 美 FDA 유전자치료제 허가 및 신속 프로그램 지정 현황 2025-02-12
- 제도동향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 장기추적조사제도 운영 현황 2025-01-10
- 산업동향 유럽EMA, 안전성 및 유효성 추적조사에 관한 가이드라인 - 첨단치료의약품의 위해성 관리 2024-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