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KBCH보고서] 중국 2024 (KBCH 동향보고서 No. 2024-1)
- 등록일2024-03-19
- 조회수1877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3-13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바이오안정성#GMO#유전자변형생물체
[KBCH보고서] 중국 2024 (KBCH 동향보고서 No. 2024-1)
◈ 목차
I.주요 특징
II.법 제도
III.연구개발 현황
IV.승인현황
V.재배현황
VI.수출입 및 이용현황
◈본문
I. 주요 특징
◆구성
◉︎행정구역을 4개의 직할시 (베이징 톄진, 충칭, 상하이, 성허베이) 23개 성 (허베이, 샨시, 랴오닝 등), 5개 자치구 (네이멍구 광시장족) 등 2개 특별행정구 (홍콩 마카오) 로 구분
◉︎중국 국내총생산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50%를 상회하며 '20년 기준 GDP 대비 산업별 비중은 1차산업 7.7%, 2차 산업 37.8%, 3차산업 54.5%
◉︎중국 정부의 곡물 자급률 제고 및 국가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정부정책 추진으로 1차 산업 비중이 코로나 발생 전인 2019년 대비 증가
◆규제 수립 체계
◉︎'01.5월 농업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관리조례를 공포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변형생물체 규제 방침 및 체계를 마련
◉︎농업농촌부가 수입 및 국내 생산을 위한 생명공학 제품 승인을 담당하고 있으며 농업 생명, 농업 생명공학 관련 정부 정책 및 기술지침 개발 주도
◆주요 이슈
◉︎식량 안보를 개선하고 수입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유전자 변형 대두와 옥수수의 추가 품종 수입 및 생산을 승인하고 재배 면적을 전국적으로 확대
II. 법 제도
1) 카르타헤나의정서
◉︎'05.6월 카르타헤나의정서에 비준
╺︎생태환경부가 정서 국가책임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카르타헤나의 중국 내 의정서 이행을 담당
◉︎중국 (쿤밍)에서 제 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제 10차 카르타헤나의정서 당사국회의 제 4차 나고야의정서 당사국회의 개최
╺︎제 15차 당사국총회에서는 2030년까지 전 지구적 차원에서 이행해야 하는 생물다양성 전략 계획인 쿤밍 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를 최종 채택
2) 규제 체계
◆관련 규제
◉︎중국 국무원은 2001년 5월 23일 농업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관리조례를 공포하고 이에 따라 농업농촌부가 유전자변형 제품 수입, 재배 관련 승인 및 농업생명공학 정책과 규제를 개발
◉︎농업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관리조례 는 추가 조치 등을 통하여 보완
◉︎중국 내 생산/재배용과 (수입 가공용으로 사용)유전자변형 작물에 대한 안전성평가 가이드라인 개정판 발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05] 미국 FDA, CAR-T 및 유전자 치료제 관련 산업 지침 확정 및 발표
-
다음글
- [이슈 브리핑] 영국 식약청, 해외 규제기관과 허가 상호 인정에 속도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