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미생물한도시험법 정보집

  • 등록일2024-03-28
  • 조회수4606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미생물한도시험법 정보집


 

◈ 목차


  • I. 개요

  • II.생균수시험

  • III.특정미생물시험

  • IV.국내외 약전

  • V.참고 자료

  • VI.참고 문헌

 

◈본문

  • I.개요

1. 서문

미생물한도시험 법은 제제 뿐 아니라 원료의약품을 포함한 비무균제품의 미생물학적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방법으로, 안전한 제품의 유통을 목적으로 한다.

생균수시험법 및 특정 미생물시험의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각각의 배지성능시험과 측정법, 시험법의 적합성시험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이 시험법은 미국, 유럽, 일본의 3개 약전이 국제조화된 시험법으로 대한민국약전도 국제조화된 시험법을 반영하고 있다. 원료 또는 제제에서 임의로 선택한 다른 수 개소(또는 부분)에서 채취한 것을 잘 섞어 검체로 하여 시험한다. 검체를 액체배지로 희석할 때는 신속하게 시험한다. 또한 이 시험을 할 때는 생물학적 위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히 조심한다.




미생물한도시험법


2. 공통준비사항

  • 시설

  • 생균수 측정은 검체가 외부로부터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조건에서 시험한다.

  • 생물안전작업대(Biological Safety Cabinet): 헤파필터(H타3Afilter)가 붙은 클린벤치(Laminar Flow Cabinet)로 미생물시험에 이용하는 무균장치이며,챔버 내부의 양압으로 외부공기의 직접적인 흡입이 방지되도록 유지한다.

  • 기구및기기

  • 1.기구

  • 멸균피펫, 멸균핀셋, 멸균가위, 멸균약수저(spatula), 멸균시험관, 멸균병, 멸균페트리접시, 멸균유리봉, 멸균도말봉, 알코올램프, 험기성배양용기 (jar) 등

  • 2. 기기

  • 고압증기 멸균기: 가압증기를 사용하는 고압멸균장치로 배지 및 기구의 멸균에 사용한다.

  • 배양기 : 세균,미생물 혹은 세포를 인공적으로 증식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배양장치이다.

  • 수욕조: 수조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 저울: 배지조제,검체 전처리 등 칭량할 때 사용한다.

  • 3.배지

  • 약전의 미생물시험에 규정된 목적에 적합한용액, 배지 및 조성이 기재되어 있다. 적합성이 확인되면 다른 배지를 써도 된다.  배지는 미생물시험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배지의 품질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적정한 배지의 종류, 배지성분을 선택하며, 분말배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른다. 시험의 재현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말배지 또는 배지성분의 정확한 칭량이 필요하며, 적절한 칭량범위에 대해 교정된 저울을 사용하여 기록을 남긴다. 통상적으로는 정제수를 사용하여 조제하며, 사용한 물의 용량도 기록한다. 배지의 멸균방법과 그 경향에 대해서는 배지의 무균성 확인과 배지성능시험을 통해 검증해야 한다. 고압증기 멸균기를 통한 배지의 멸균 시 멸균기 내에 넣은 배지의 수, 용량, 용기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기기 내의 온도가아니라 배지 자체의 온도를 확인 한다. 멸균 후 배지의 pH는 25 OC까지 냉각해서 측정한다. 실온에서 측정하는 경우, 측정치는 25 OC로 보정한 pH 값으로 한다. 액체배지의 측정은 침지형 pH 전극을 이용하며,한천배지는 평판이기에 끝이 평평한 전용 전극을 사용하나 굳기 전의 배지에 정제수를 정량 첨가하여 10분간 정도 천천히 섞은 후 측정해도 좋다. 멸균후의 한천배지를 보관 후 다시 용해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해 후의 배지에 대해 성능시험을 실시하여 보존조건과 보관기한을 검증해야 하며, 과열에 의한 품질저하와 오염을 피하기 위해 다시 용해해서 사용하는 것은 1번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좋다.

기구 및 기기

3. 미생물한도시험법의 흐름



미생물한도시험법의 흐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