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KPBMA FOCUS 제14호] 국외 의약품 품질관리 동향과 한국에의 시사점 外

  • 등록일2024-08-07
  • 조회수1372
  • 분류제도동향
  • 자료발간일
    2024-05-22
  • 출처
    한국제약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의약품#품질관리#CGMP#GMP
  • 첨부파일
    • pdf KPBMA_FOCUS_제14호_국외_의약품_품질관리_동향과_한국에의_시사... (다운로드 10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KPBMA FOCUS 제14호]

국외 의약품 품질관리 동향과 한국에의 시사점 外


◈본문


■ 들어가며


ㅇ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간하는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 현장감시 주요 지적사례’는 의약품 GMP 현장 감시에서 확인된 중대/중요 지적사례를 분류하여제시하고 있음

- 지적사례가 빈번히 보고되고 있는 영역으로 ‘조직의 구성’, ‘문서관리규정’, ‘시험관리’, ‘제조공정관리’가 있음1)

- 해당 영역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 원인은 ‘GMP 관련 인식/이해 부족’과 ‘인력 부족’으로 판단됨. 두 가지 원인은 ‘GMP 준수 비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품질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경영진의 노력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음


ㅇ 본 원고에서는 국외 의약품 품질관리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분석하였음

- 의약품 품질관리의 기본인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CGMP),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의 관련 가이드라인,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논의되고 있는 품질관리성숙도(Quality Management Maturity; QMM)를 살펴보았음

- QMM은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에서도 완성된 개념이 아니라 형성되는 과정에있음. 이를 고려하여 본 원고에서는 ISPE2)의 의약품 품질 향상(Advancing Pharmaceutical Quality, APQ) 프로그램을 예시로 활용하여 QMM의 주요 개념과 내용을 설명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분석하였음 


■ 의약품 품질관리 체계


ㅇ 규제기관은 의약품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조업체의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CGMP)’ 규정 준수 여부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함

- 그러나 업체가 CGMP 요건을 준수하는 것은 의약품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충분한 품질을 갖출 수 있도록 보장하는 최소한의 기준임

- FDA는 정기적으로 업체의 제조 시설을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CGMP 규정을 이행하는 조처를 하고 있음. 그런데, FDA 조사관은 CGMP 준수에 있어 미비점을 찾지만, 제조 시설의 품질관리 등급이 최소 규제 기준보다 얼마나 높은지, 품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평가하지는 않음

- 즉, CGMP 준수만으로는 업체가 제조 성능과 품질 개선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이를 일관되게 통제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는지를 파악할 수 없음


ㅇ 이러한 맥락에서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의 품질 가이드라인은 중요한 역할을 함

- ICH의 가이드라인은 GMP를 넘어 제품의 개발, 제조, 품질 보증 과정에서의 위험 관리와 과학적접근을 강조함. 가이드라인은 의약품의 일관된 품질을 보장하고, 국제적으로 통합된 품질 기준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

- 2008년 ICH Q10 의약품 품질 시스템(Pharmaceutical Quality System; PQS)이 제안되었음. 효과적인의약품 품질 시스템을 규정하는 ICH Q10은 CGMP를 보완하는 역할을 함. 또한 지식관리와 품질위험관리 원칙을 활용하여 의약품 품질 시스템을 관리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활동을설명함


ㅇ 최근에는 의약품 품질 시스템 개념을 철저하게 구현하고, 지속적인 품질관리 개선을 촉진하기위한 품질관리성숙도(QMM)4)가 FDA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음

- QMM은 CGMP 규정 준수를 넘어 업체가 자발적으로 품질관리 모범 사례를 제시하고, 위험 기반의 접근 방식을 통해 품질 문제를 선제적으로 예방하며, 지속적으로 품질관리체계를 개선하도록 유도함

<그림 1> CGMP, ICH Q10, QMM의 관계

CGMP, ICH Q10, QMM의 관계


- FDA는 의약품 부족이 발생하는 주요한 원인을 성숙하지 못한 품질관리 시스템으로 보고 있음. QMM은 제약업체의 품질관리 시스템 향상에 유인을 제공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의약품 부족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논의되고 있음 


■ 의약품 품질 향상 프로그램


ㅇ ISPE의 의약품 품질 향상(Advancing Pharmaceutical Quality, APQ) 프로그램6)은 QMM의 개념과 구성요소, 평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음


▶ APQ 프로그램 개요


ㅇ APQ 프로그램은 ICH Q10 모델을 기반으로 1) GMP의 전 요소, 2) 문화적 우수성(cultural excellence), 3) 운영 우수성(operational excellence)을 포함. 운영 우수성은 하위 구성요소로 경영진의 책임(Management Responsibilities), 의약품 품질 시스템(PQS) 구성요소, 가능 요인(enablers)을 포함


<그림2> ISPE APQ 프로그램 개요



- ‘경영진의 책임’에서는 품질에 대한 전사적 약속을 확립하고 유지하는 데에 있어 리더십이 필수적임을 명시하고 있음. 효과적인 리더십은 회사의 모든 직원이 품질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의약품 품질 시스템의 모든 측면에서 품질을 유지하는 데 전념하도록 보장


- ‘PQS 구성요소’는 1) 경영진의 검토(Management Review), 2) 변경 관리 체계(Change Management System), 3) CAPA 체계(Corrective Action & Preventive Action System), 4) 공정성능및 제품 품질 모니터링 체계(Process Performance & Product Quality Monitoring System)로 구성


- ‘가능 요인’은 조직의 높은 성과 달성과 관련된 능력을 의미함. 지식관리와 품질위험관리는 의약품품질 시스템 모델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데 필수적임. 또한 지식관리와 품질위험관리는 과학적 의사결정을 촉진함으로써 ICH Q10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함


▶ APQ 프로그램의 이해


ㅇ APQ 프로그램 설계의 근간

- 확립된 의약품 품질 시스템은 우수한 성과 달성에 매우 중요함. 품질관리 관행이 미성숙한 조직은 품질 우수성 개선보다는 단기 사업 목표 달성에 초점을 둠. 품질 결함, 공급부족으로 이어지는 문제 상황을 예측하고, 사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성숙한 품질 시스템이 필요함 


ㅇ APQ 프로그램은 4단계의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도구 및 접근 방식으로 구성

- ICH Q10에 기반을 두고 ‘PQS 구성요소’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진단 도구를 제공

- 프로그램은 Assess(평가), Aspire(목표설정), Act(행동), Advance(발전) 단계로 구성되며 고전적인PDCA(Plan-Do-Check-Act) 주기를 바탕으로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자체 평가 및 개선 프로세스를 제공


<그림 3> APQ의 Assess, Aspire, Act, Advance 프레임워크

APQ의 Assess, Aspire, Act, Advance 프레임워크APQ의 Assess, Aspire, Act, Advance 프레임워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