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인간 유전체 기능연구의 소개
- 등록일2011-05-16
- 조회수10989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11-05-13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간 유전체#인간유전체
- 첨부파일
인간 유전체 기능연구의 소개
Introduction of human genome function research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 바이오과학정보과 반효정
Ⅰ. 들어가는 말
인간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 HGP)는 1980년대 말 미국 국립보건원과 유럽, 일본 등 선진국들이 참여해 인체 게놈 사업기구(HUGO)라는 별도의 국제 학술회의가 결성되어 시작된 프로젝트이다. 2001년 2월 11일에 완료된 인간게놈프로젝트는 성인 남성 1명의 DNA 샘플을 이용해 인간 게놈 99%의 지도를 완성하였지만 샘플 수가 적어 유용성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인간 지도를 완성하게 되면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질환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와는 다르게 질병 치료에 실제적인 큰 도움을 주지는 못했다. 기존 인간게놈프로젝트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1000명을 대상으로 인간 유전체를 다시 자세히 분석해 보자는 취지의 1000 유전체 프로젝트(1000 Genomes Project)가 2008년에 시작되었다. 2001년도에 완성된 게놈 프로젝트의 DNA 염기 해독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면 이번 프로젝트의 비용은 대략 5억 달러의 비용이 소요되지만 발전된 최신의 해독기술[1]과 효율적인 관리방법으로 1000 유전체 프로젝트의 비용은 급속히 떨어졌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