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미생물로부터 친환경 의료용 바이오 플라스틱 PLGA 생산기술 최초 개발
- 등록일2016-06-27
- 조회수7191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16-06-16
-
출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 플라스틱#미생물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미생물로부터 친환경 의료용 바이오 플라스틱 PLGA 생산기술 최초 개발
저자 :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 특훈교수
최소영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박사과정
석유로부터 만들어지는 다양한 물질들은 에너지, 식량, 화합물 등 생활 전 범위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현대 인간의 풍요로운 생활을 유지시키는 필수적인 요소다. 그러나 이러한 화석 연료의 사용은 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와 같은 심각한 환경 문제의 주범으로 손꼽히며, 높은 화석 연료 의존성으로 앞으로 닥칠 화석 연료 고갈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라가지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인 바이오리파이너리는 기존 산업 시스템에서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가 담당하던 부분을 생물체가 만들어내는 유기물질인 바이오매스로 (곡물, 볏짚, 목재, 농업 폐기물, 동물의 배설물 등) 대체하여 연료, 플라스틱, 각종 화학제품들을 생산하는 종합적인 기술이다. 매장량이 한정되어 있는 화석 연료와 달리 바이오매스는 태양광이 존재하는 한 계속 만들어낼 수 있는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고갈의 염려가 없어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하고, 탄소를 고정하는 식물 자원이 주를 이루므로 탄소 배출을 상쇄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이상적인 미래 자원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농식품 분야 기술목록집(2016.4)
-
다음글
- 생물물리학 암과 싸우다
지식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환경 대응형 생분해성 바이오융합 플라스틱 소재 개발 동향 2025-03-10
- BioINwatch 피부 유익균을 활용한 바르는 미생물 백신 2025-02-04
- BioINpro [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바코드 미생물 2024-06-26
동향
발간물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9화 “플라스틱 분해 인공미생물” 편 2019-12-06
- 연구 보고서 바이오소재 활용기술 (바이오 플라스틱 중심으로) 2012-05-29
- 연구 보고서 바이오그린21사업 핵심기술별 특허분석-전반부(작물, 동물, 곤충, 농용미생물, 조류(algae)를 중심으로) 2007-04-01
- 연구 보고서 Protein factory program-미생물(박테리아, 효모, 곰팡이) 발현 시스템 및 동물세포 발현시스템 2005-04-30
- 연구 보고서 미생물 유전체 활용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맵 분석과 핵심특허 확보 방안연구 2005-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