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스마트팜 기술 및 시장동향 보고서

  • 등록일2020-01-15
  • 조회수8282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9-12-10
  • 출처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팜#기술#시장동향
  • 첨부파일


스마트팜 기술 및 시장동향 보고서



목차


1.서론

2. 스마트팜 산업 및 시장 동향

3. 스마트 정책동향

4. 스마트팜 지식재산권 동향

5. 결론


1. 서론


■ 목적  

ㅇ   본 보고서는 스마트팜과 관련된 국내·외 기술·시장동향 및 연구개발 현황등 관련분야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음

■ 기술 개요  

ㅇ   (정의) 농작물과 가축의 생육정보와 환경정보 등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농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점검하고, 적기에 처방함으로써 노동력·에너지·양분 등을 종전 보다 덜 투입하고도 농산

물의 생산성과 품질제고가 가능한 농업

ㅇ   이를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팜은 일반적으로 IoT, 빅데이터, AI, 자동화시스템 및 로봇기술들을 시설원예(비닐·

유리온실), 축사, 과수원 등에 접목하여 농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 유지·관리를 원격 또는 자동으로 수행 할 

수 있는 지능화 된 농장형태를 가짐

ㅇ   (배경)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와 물 부족,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경작지 감소, 인구 고령화 등으로 예상되는 식

량수급 문제 예상

ㅇ   국내 농업은 과거 2000년대 초반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해왔으나 최근 농가소득의 정체, 곡물자급률 하락, 농

촌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더 나아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

ㅇ   또한, 농산물의 작황 및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고, 가격의 등락도 반복되어 소비자인 국민의 안정적 먹거리 확

보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

ㅇ   농업생산액, 농업소득의 정체 및 농가 인구의 감소

-   농업생산액도 2001년 32조원에서 2012년 44조원으로 급성장하였으나, 2012년부터 2016년까지는 44 조원으

로 정체

- 호당 평균 농업소득은 2001년부터 2015년까지 1,130만 원으로 15년간 정체

- 농가 인구는 2000년 400만 명에서 2015년 260만 명으로 대폭 감소

ㅇ   (필요성) 농·축산업인구 고령화, 젊은층의 영농승계 인력난 및 생산면적 감소, 투자위축 등에 따른 소득·수

출·성장률 정체 등 지속가능성 위기에 처한 농촌문제 해결안으로 최근 스마트팜이 큰 주목을 받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