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및 진단기술 동향 정보집

  • 등록일2020-01-30
  • 조회수10509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0-01-16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치매#뇌질환#치료제
  • 첨부파일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및 진단기술 동향 정보집  

 

 

목차


제1장 퇴행성 뇌질환의 개요

제2장 치매와 뇌졸중 치료제 시장 현황 및 지원 동향

제3장 치매와 뇌졸중 치료제 및 진단기술 연구개발 현황

제4장 치매와 뇌졸중 치료제 및 진단기술 관련 특허동향

제5장 참고문헌


제1장 퇴행성 뇌질환의 개요

 

1. 퇴행성 뇌질환의 정의

 

퇴행성 뇌질환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 중 뇌 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원인에 의해 1) 뇌와 척수의 특정 뇌 세포군이 서서히 그 기능을 잃고,2) 뇌 세포의 수가 감소하며, 3) 뇌 신경계의 정보 전달에 가장 중요한 뇌 신경세포의 사멸, 4) 뇌 신경세포 간 정보를 전달하는 시냅스의 형성이나 기능상의 문제 발생, 5) 뇌 신경의 전기적 활동성에 대한 이상적 증상이나 감소로 인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와 척수의 신경세포들은 그 위치에 따라 매우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어 어느 부위의 신경세포들이 먼저손상되고 시능을 잃는지 또는 이러한 기능장애가 어떤 형태로 진행되는가에 따라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퇴행성 신경질환은 신경계의 한 부분 혹은 여러 부분에서 서서히 끊임없이 진행하는 신경세포의 사멸로 인한 병을 통칭한다.

퇴행성 신경질환은 발병 부위 및 기전 등에 따라 진행성 인지기능 장애, 진행성 운동실조, 근력저하 및 근위축 등을 일으킨다.

퇴행성 뇌질환은 주요 증상과 뇌에서 발생되는 부위를 고려하여 구분 할 수 있는데 알츠하이머병, 파키슨병, 헌텅턴병, 다발성경화증 등이 있다.

국제적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괴면서 퇴행성 뇌질환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치매 또는 뇌졸중 질환에 대한 치료제 및 진단방법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치매 및 뇌졸중 질환에 대한 의료 신기술 및 진단법 개발 동향뿐만 아니라 관련 진단기기 개발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표1. 퇴행성 신경질환의 분류

 

캡처.PNG

(출처: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제 시장동향,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2015)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