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GMO 안정성에 대한 연구 동향

  • 등록일2020-03-30
  • 조회수6311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20-03-19
  •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GM작물#안전성#유전자
  • 첨부파일

 

GMO 안정성에 대한 연구 동향

   [저자] Altria 김태진 


목 차

 

1.서론

2. 본론

 2.1. GM 작물 개발 동향

 2.1.1. 제초제 저항성 형질

 2.1.2. 해충 저항성 형질

 2.1.3. 바이러스 저항성 형질

 2.1.4. 기타 형질

 2.2. GM 작물의 환경 영향

 2.2.1. 생물 다양성

 2.2.2. 유전적 전이

 2.3. GM 작물의 인간/ 동물 영향

 2.3.1. GM 작물의 안정성 평가

 BRIC View 동향리포트

GMO 안정성에 대한 연구 동향 김태진 Page 2 / 10

 2.3.2. GM 작물 소비 안정성

 2.3.3. GM 작물의 관리

 3. 결론

 4. 참고문헌


요약


지난 30년간 유전자 변형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많은 종류의 GM(genetically modified, 유전자 변이작물) 작물의 개발이 시도되었으나, 실제로 상업화된 작물은 주로 대두(soybean), 옥수수(maize), 및목화(cotton)를 중심으로 제초제나 해충 저항성을 도입하는데 연구의 초점이 맞춰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GM 작물의 재배가 주변 작물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나, GM 작물의 소비가 인체에 직/간접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건강상의 우려가 커지면서 GM 작물의 안정성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GM 작물과 연관된 신체에 대한 심각한 위험성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본 보고서에서는 GM 작물의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 데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들을 소개하고,GM 작물의 상업화 과정에서 거치게 되는 안정성 평가의 기준과 안정성 관련 최근 연구들의 가장 핵심적인 주제들을 살펴보았다.


서론


세계 보건 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 의하면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s)은 자연적 교배 혹은 재조합 방법이 아닌 인위적인 방법으로 DNA가 변형된 식물, 동물 및미생물을 포함한 모든 유기체를 의미하지만, 본 보고서 내용은 genetically modified 된 식물(이하GM 작물) 및 이를 소비해 생산한 동물성 식품에 한하여 다루었다.

1980년대 이후로 유전자 변형 기술을 이용하여 과일의 변형 시기를 늦추거나, 질병에 강한 저항성을 가지는 등의 작물의 특성을 바꾸려는 시도들이 있어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가장 폭넓게 상용화된 GM 작물은 해충 저항성 및 제초제 저항성 형질이 도입된 경우였다. 이러한 형질이 도입된 대략 십여 가지 종의 작물이 최근까지 전 세계 총 경작지의 12-15 % 정도에 걸쳐 재배되었고 [1],대두(soybean), 옥수수(maize), 목화(cotton)가 가장 보편적인 GM 작물이다. (그림 1) GM 작물은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주거나 영양적인 측면에서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GM 작물의 재배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나, 식품으로써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최근 들어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학계 및 민간 간의 논의와 교류가 필요한 상황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