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KISTI ISSUE BRIEF 제29호 : Bridge to Future, 데이터로 만나는 미래유망기술

  • 등록일2021-01-27
  • 조회수5413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01-22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래유망기술#뉴노멀
  • 첨부파일

 

Bridge to Future, 데이터로 만나는 미래유망기술 

 

목차

CHAPTER 01. 딥러닝으로 예측한 미래 고성장 과학기술 100선
 ▘ 과학기술 100선과 7대 이슈
 ▘ 과학기술별 국가수준
CHAPTER 02. 포스트 코로나 대응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창출 유망사업 아이템
 ▘ 뉴노멀 시대에서의 패러다임 변화와 기술사업기회 선정 프로세스
 ▘ 주목해야 할 10대 기술사업기회
 ▘ 미래 유망 사업화 응용 아이템 90선
CHAPTER 03.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정부 R&D투자분야 및 전략
 ▘ 한국판 뉴딜과 데이터·기술 통합혁신체제, R&D 혁신투자플랫폼
 ▘ 정부 R&D 투자분야와 전략

요약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19 펜데믹과 4차 산업혁명은 인류의 미래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시대를 이끌 핵심 기술과 코로나19로 인해 필요성이 더욱 커진 기술이 무엇인지 알면 향후 전개될 미래를 좀 더 든든히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디지털 문명의 고도화는 클라우드, 사물 인터넷, 5G 통신망 등의 신기술에 힘입어 막대한 양의 빅데이터를 생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학기술 미래 사회를 좌우할 핵심 유망기술을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반으로 발굴􏘥제시하고 그 기술들의 확보 및 사업화 전략 등에 대한 논의의 계기 마련은 시기적으로 매우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이슈브리프에서는 미래유망기술세미나 2020에서 발표된 세 가지 주제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담았다. 첫째는 딥러닝으로 예측한 미래고성장 과학기술 100선, 둘째는 중소기업이 관심을 가질만한 포스트 코로나 대응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 유망사업 아이템, 셋째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정부 R&D 투자분석 및 전략이다. 여기서 제시하는 유망기술과 사업화아이템􏘙 정부 R&D 투자분야 등을 살펴봄으로써 기술혁신주체들이 뉴노멀시대에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미래사회를 조망하고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해 나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CHAPTER 01. 딥러닝으로 예측한 미래 고성장 과학기술

데이터 기반 미래기술 센싱은 과학기술의 구조와 발전방향을 밝히는 거시적 사이언스 맵에서 언어처리와 인공지능 기반의 미시적 분석으로 발전함.
• 예측 목적에 따른 데이터 속성*에 부합하는 오픈데이터의 수집과 구축􏘙 그리고 데이터 융합분석 전략 등이 요구되며, KISTI는 이러한 예측 목적별로 미래기술 센싱전략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음.
* 데이터가 클러스터를 형성하는가􏘟 데이터가 융합되는가?

최적의 딥러닝 예측 모형1􏘘을 이용하여, 100대 미래 고성장 과학기술2􏘘 영역(클러스터)을 선정함.
• 최근 14년 간 전 세계에서 출판된 과학기술 논문 약 2􏘙000만 건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함.
• 문헌 인용관계 분석으로 약 4,500개의 유사 기술군을 생성하여 딥러닝 예측모형으로 7년 뒤의 고성장 기술군을 도출함.
⇒ 미래 고성장 과학기술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시대에서 요구되는 예측 기술들로 지구에 대한 이해와 공존을 지향하는 연구영역들과 인공지능 응용연구분야 등이 유망한 것으로 분석되었음.

미래 고성장 과학기술영역 (예시)

≫ 수학/컴퓨터과학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 차세대 전력 체계의 핵심 기술인 마이크로 그리드(Microgrid) 기술
- 사용자 행동 분석 기반 지능형 교통 시스템 기술
- 스마트 환경을 이용한 인간 활동 인식 및 분석 기술
- 스마트폰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Indoor LBS) 기술
- 전염병 및 자연재해 예측을 위한 행위자 기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술

≫ 물리/공학 (Physical sciences and engineering)
- 유연성 슈퍼커패시터용 소재 물질 개발
- 광전환 효율을 향상시킨 비 풀러렌(non-fullerene) 유기태양전지
- 수처리 또는 담수화를 위한 복합 분리막
- 흡착제를 이용한 오폐수의 중금속 제거 기술
- 열 활성 지연형광(TADF)을 활용한 OLED 소자 제조 기술

≫ 생명/지구과학 (Life and earth sciences)
- 차세대 전력 체계의 핵심 기술인 마이크로 그리드(Microgrid) 기술
- 사용자 행동 분석 기반 지능형 교통 시스템 기술
- 스마트 환경을 이용한 인간 활동 인식 및 분석 기술
- 스마트폰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Indoor LBS) 기술
- 전염병 및 자연재해 예측을 위한 행위자 기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술

≫ 바이오/건강 (Biomedical and health sciences)
- 면역세포에 의한 대사질환 조절(면역대사) 연구
- 골수유래 면역억제세포(MDSC) 활용 면역항암제 개발
- 질병 예측의 유용한 바이오 마커(Biomarker, 생체 지표)인 지질체(lipidomics) 연구
-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약물부작용 감시
- 단백질 대량 생산을 위한 무세포 단백질 합성(CFPS) 연구

≫ 도출된 100선의 과학기술영역별 기술을 기초로 이슈키워드를 도출하여, 각 이슈키워드의 동시발생 분포 등을 통하여 7대 이슈를 도출함.
• 인간의 삶의 터전인 지구에 대한 이해와 공존을 지향하는 연구영역들이 부상함.

Issue 1 지구온난화 - 데이터/AI - 소재연구의 3대 중심축
Issue 2 지구를 이해하는 "감시/센싱/모니터링" 기술
Issue 3 데이터와 소재연구가 의료분야 적용을 지향
Issue 4 재해􏘙 자원 그리고 에너지원으로서의 '물'
Issue 5 신재생 에너지, 지속가능 에너지
Issue 6 새로운 기반기술로서의 이미징 기술과 나노기술
Issue 7 사회적 담론의 과학기술적 접근

10.JPG

 
≫ 도출된 100선에 대한 현황분석􏘙 국가수준 분석 및 한국의 점유율 분석을 수행하여 각 기술영역별 한국의 수준과 주요 기술현황을 제시함주


11.JP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