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KBCH 브리핑] Next Generation Sequencing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 등록일2021-02-25
- 조회수7379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1-02-15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술#차세대 염기서열분석
- 첨부파일
Next Generation Sequencing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1. 염기서열 분석(Sequencing)
□ 염기서열 분석은 DNA 또는 RNA를 이루는 염기의 서열을 분석하여 각 유전자가 지정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생물체 또는
개체마다 가지고 있는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의미함
□ 염기서열 분석은 표준 유전체 해독, 질병 진단,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 등 생명공학 분야에 많은
기여를 한 기술임
□ 1970년대에 개발된 1세대 염기서열 분석 방법에는 Sanger Sequencing, Maxam-Gilbert Sequencing 등이 있으나, 이러한 1세대 방법들은
분석 과정에 있어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음
□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은 분석 과정의 일부가 자동화되어 이전의 분석 방법보다 단순해졌으며 대량의 시료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어
많은 시료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술임
2.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 대량 병렬 데이터 생산으로 효율성을 증대시킨 기술 □ 미생물 내에 클로닝 벡터를 삽입하여 in vivo1) 상태에서 DNA를
복제해야 하는 1세대 염기서열 분석 방법과는 다르게 세포를 이용하지 않고 DNA를 복제할 수 있으며, 수천에서 수백만 개의
리드(Read)2)를 병렬로 생성할 수 있음
□ 그러나 NGS는 서열 분석을 완료한 리드를 매핑(Mapping)3)하여 유전체를 조립(Genome Assembly)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1세대 분석 방법과는 달리 표준 유전체(Reference sequence)가 필요함
□ 또한 NGS를 통해 생성한 리드의 길이는 1세대 분석 방법에 비해 길이가 짧아 유전체 조립이 더 어려워져 새로운 정렬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단기 기술영향평가 방법론 및 실증연구 2025-04-30
- BioINwatch 디지털 기술(인터넷, AI 등)이 기억력과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2025-04-22
- BioINwatch Bio-inspired 기술 - 불가사리 모양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2025-04-21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