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해수담수화

  • 등록일2021-05-31
  • 조회수4388
  • 분류기술동향 >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 자료발간일
    2021-05-26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해수담수화#투자동향#기술동향
  • 첨부파일


해수담수화


◈목차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동향
제3장 산업동향
제4장 정책동향
제5장 R&D 투자동향
제6장 결론
 

◈본문

 

제1장 개요
 
1.1. 작성 배경
 
▣ 고조되는 기후변화 위기와 산업고도화 및 인구 증가에 따른 물 수요의 증가로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물 인프라 개발 및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 
 
l 인간이 바로 사용 가능한 형태의 담수 자원은 지구상 수자원의 0.3%에 불과하며, 수자원 분포 및 인구에 따른 수급량은 지역별로 편차가 큰 상황
l UN은 전 세계적으로 물 오염이 심해지고 기후변화 등에 따른 물 부족이 심화되며 2050년에는 세계 인구의 절반이 물 부족 위험에 처할 것으로 전망1)
l 지하수 부족, 하천 유량 감소 등 담수 자원의 고갈에 대한 구체적 자료가 보고되고 수자원 문제가 사회적 분쟁으로 나타나고 있어 물 안보를 위한 물관리 기술의 중요성 대두2)
l 우리나라는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1인당 수자원 부존량은 매우 적은 상황이며, 최근 지역 용수공급이 위태로울 정도의 극한 가뭄이 발생하는 등 물이용 환경의 취약성 증가 추세
- OECD 2050 환경전망 보고서에 제시된 우리나라 물스트레스지수는 40%로 OECD 국가 가운데에서 가장 크며, ‘심각한 물 스트레스 국가’로 분류3) 

▣ 무한한 수자원인 해수를 이용하기 위해 개발된 해수담수화 기술은 소재 및 공정 기술의 발전으로 적용이 확대되어왔으며 현재 세계 음용수의 1%를 생산
 
l 1956년 쿠웨이트에 건설된 최초의 해수담수화 플랜트를 시작으로,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미국 남부지역, 호주 등을 중심으로 담수화 플랜트 건설 확대
l 해수담수화 시장은 2006년 100억 2,284만 달러에서 2018년 144억 9,518만 달러로 성장 하였으며, 2024년까지 연평균 5.7% 증가하여 202억 5,629억 달러로 성장 전망4)
 
▣ 담수화 기술의 시장진입 장벽이었던 ‘높은 물 생산단가’의 큰 폭 하락과 더불어 물 수요는 지속 증가하고 있어 기술 적용 폭이 확대될 전망
 
l 2016년 이전에 건설된 전세계 해수담수화 플랜트 물 생산단가는 평균 1~1.3 US$/m3 수준이었으나5), 최근 0.5 US$/m3 수준으로 대폭 하락6)
l 인구 증가에 따른 용수수요 확대, 하・폐수 재이용 강화 및 선진국의 물-에너지 인프라 재투자 등을 계기로 담수화 기술 수요 증가 추세
 
▣ 본 브리프에서는 해수담수화 기술의 국내외 기술/산업, 정책 및 R&D 투자동향을 확인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