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미생물을 활용한 플라스틱 생물학적 분해 동향

  • 등록일2021-10-22
  • 조회수631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1-10-21
  • 출처
    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미생물#플라스틱 #생분해
  • 첨부파일


미생물을 활용한 플라스틱 생물학적 분해 동향


◈목차


1. 개요
2. 플라스틱의 종류
3. 비생물학적 플라스틱 분해 기술
  3.1. 광분해 Photodegradation : 빛을 이용한 분해
  3.2. 열산화 분해(thermo-oxidative degradation)
  3.3. 가수분해(hydrolytic degradation)
4. 플라스틱 생분해 기술 및 동향
  4.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4.2.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4.3.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4.4.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4.5.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4.6.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4.7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


1. 개요

 

 
플라스틱은 가벼운 물성, 높은 물리화학적 내구성, 높은 가공성, 매우 낮은 가격을 기반으로 사용량이 급증해왔으며, 1950년 200만 톤에 달하던 전 세계 플라스틱 연간 생산량은 2019년 기준 3억 7천만 톤에 육박하고 있다 (그림 1A). 더불어 최근 COVID-19의 확산 및 지속은 플라스틱이 주 재료가 되는 일회용 마스크, 장갑 등의 개인 보호 용품들(Personal protective equipment)의 소비 폭증, 음식 테이크아웃 및 배달량 증가에 따른 일회용 식기 사용량 증가, 온라인 쇼핑 선호에 따른 플라스틱 포장 용기 사용량 증가를 이끌어, 앞으로도 플라스틱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브릭.png

그림 1. (A) 1950년-2015년 사이의 전세계 플라스틱 생산량. (B) 2015년 기준 플라스틱 종류 별 폐기물 발생량
데이터 출처: https://ourworldindata.org/
 
이처럼 사용량이 꾸준히 늘어남에 따라, 많은 국가에서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및 분해에 대하여 오래전부터 큰 노력을 들여왔다. 하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업적인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은 여전히 파쇄, 세척, 재생 과정을 포함하는 기계적인 재활용 기술(mechanical recycling technology)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기술적으로 재활용이 용이한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E/PET),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Low-density polyethylene (LDPE)을 제외한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여전히 재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폐플라스틱의 9%만이 재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보다 많은 양을 일부 소각(12%)하고, 나머지 79%에 해당되는 폐기물들은 매립되는 등 자연환경에 그대로 유출되고 있다. 실제 2015년 기준 약 3억 톤에 달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되었다.(그림 1B).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