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나노 유전자 편집 기술 활용 췌장암 치료제 개발
- 등록일2021-12-08
- 조회수4353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1-11-18
-
출처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자#나노#췌장암#치료제
나노 유전자 편집 기술 활용 췌장암 치료제 개발
◈목차
나노 유전자 편집 기술 활용 췌장암 치료제 개발
◈본문
● 아주대학교 약학과 윤태종 교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영석 교수 연구팀은 나노입자 전달체에 두 가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유전자 가위 단백질 소재를 탑재하는 방식을 통해 두 가지의 유전적 이상 부위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편집함으로써 새로운 췌장암 치료제를 개발
●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에서 가위 역할을 하는 단백질 구조체는 혈액 내 안정성이 떨어져 그동안 시험관 환경(in vitro) 또는 직접 주사 방식을 적용하는 질환에만 활용이 가능했던 상황
● 연구팀이 개발한 치료제는 유전자 변이로 인해 현재 췌장암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물(젬시타빈, Gemcitabine)에 저항성을 보이는 환자들을 위한 것으로 젬시타빈은 뉴클레오시드 화합물로, 췌장암 세포 안에 흡수되어 유전자에 삽입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해 췌장암 환자 치료에 활용되었지만, 췌장암 환자의 약 55%는 두 유전자(KRAS, P53)에 동시 변이가 있어 젬시타빈 약물로 치료 효과를 보기 어려웠던 상황
●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단백질 형태의 유전자 가위 물질을 나노 캐리어(LNP)에 탑재하는 경우 매우 안정적으로 혈관 내에 존재하게 되고, 결국 암세포에 표적 전달이 가능하다는 점을 활용하였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면 하나의 나노 캐리어 나노입자에 두 가지의 유전자 변이(KRAS, P53)를 동시에 편집이 가능
● 연구팀은 나노 캐리어 표면에 췌장암 표적을 위한 항체를 도입, 표적 항암제와 유사하게 췌장암 세포에만 유전자 가위 소재를 전달하였으며, 생체 내 실험(in vivo)에서 암 조직으로의 유전자 가위 소재 전달 효율은 60%에 달했으며, 동물 모델에서의 치료 효과도 대조군 대비 높은 것을 확인
● 연구팀은 유전자 가위 기술에 나노 캐리어(LNP)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혈관 주사를 활용하는 방안이 가능해졌으며, 보다 다양한 질병의 치료에 이를 적용할 수 있게 되어, 나노-유전자 편집 기술의 활용 범위가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watch 작물 중개 유전체학에 거는 기대와 도전 과제 2025-01-24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국내외 LMO 관련 바이오신기술 규제 동향 2025-01-15
- BioINwatch AI 가상 실험실(AI virtual lab)에서 개발한 나노바디 2025-01-07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