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의 10대 미래유망기술
- 등록일2024-02-23
- 조회수2692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자료발간일
2024-02-15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공지능#미래유망기술#과학기술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의 10대 미래유망기술
박창현
◈ 목차
Ⅰ. 연구 배경
Ⅱ. 연구 절차 및 세부내용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본문
■ 요약
◎︎ 연구 배경
▪︎ 미래유망기술 선정을 통해 현재 우리 사회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슈와 과학기술의 미래 방향성 제시 필요
▪︎ 미래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10대 유망기술을 선정하고, 유망기술별 심층분석 자료를 제공하여 미래모습을 구체화하고 활용성을 강화
◎︎ 연구 절차
▪︎ 미래이슈 선정, 미래유망 후보기술 발굴, 미래유망기술 선정, 미래유망기술 심층 분석 등의 순으로 연구 수행
▪︎ 2024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주제(이슈)는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로 선정되었으며, 문헌조사, 설문조사,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10대 유망기술을 최종 선정
▪︎ 10대 유망기술별 기술 개요(기술명, 정의, 범위), 국내외 동향, 2033 미래 전망, 다른 미래유망기술과의 관계, 기술적 난제 및 정책제언 등 분석 수행
▪︎ 10대 유망기술별 논문・특허분석 기반 기술추세 및 수준 분석의 심층 분석을 수행
◎︎ 연구 결과
▪︎ 국내외 미래 전망 동향 분석, 미래예측 전문가 대상 설문, 결과 활용성 등을 고려해 향후 10년 이내에 한국 사회에 커다란 변혁을 가져올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시대’를 주제로 삼아 미래유망기술을 발굴하고 심층분석을 수행
▪︎ 생성형 인공지능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정도가 큰 10대 미래유망기술은 ① 거대언어모델 (LLM) 기반 텍스트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 ② 자율 이미지 및 영상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 ③ 신경망처리 기반 인공지능 전용칩, ④ 지능형 개인 맞춤 서비스 인공지능 기술, ⑤ 감성내재 음성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 ⑥ 클라우드 기반 머신러닝 플랫폼 기술, ⑦ 코딩 보조용 생성형 언어 모델 기술, ⑧ 멀티모달(이미지, 텍스트, 음성) 통합 인식 및 생성 인공지능 기술, ⑨ 인공지능 신뢰성 및 안전성 제고 기술, ⑩ 인공지능 오픈 마켓플레이스 플랫폼 기술을 선정
◎︎ 결론 및 시사점
▪︎ 미래유망기술은 5~10년 후 새로운 창작물이 인공지능에 의해 생성되는 창작의 시대를 맞이하여 생성형 인공지능의 확산에 기여 가능함
▪︎ 각 미래유망기술은 타 기술과 상호보완적 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생성형 인공지능의 확산에 기여하기 위한 긍정적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
▪︎ 미래유망기술의 조속한 실현과 발전을 위해서는 원천기술 확보, 법・제도 개선, 인프라 구축, 인력양성, 신뢰성・안전성 제고 등이 필요
▪︎ (원천기술) 생성형 AI 원천기술 투자 및 개발, 데이터보안 및 프라이버시 기술 확보, 대규모 언어 모델 개발 등 원천기술 확보
▪︎ (법・제도)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보호 관련 법・제도 정비, 생성된 저작물의 저작권과 신뢰성에 대한 법률 제정, 생성형 AI 확산에 따른 사회 문제 해결, 서비스 품질 보증 등 법 및 제도 마련
▪︎ (인프라 구축) 거대 모델 지원 컴퓨팅 인프라 구축, 테스트베드 및 상용화 지원 인프라 구축, 클라우드 및 머신러닝 하드웨어 인프라, 시험인증 체계, 오픈마켓 플랫폼 구축 등 해당 기술의 적용을 위한 인프라, 협력체계, 테스트베드 구축
▪︎ (인력양성) AI 인력 채용시장 변화 대응, 실증 및 체험 연계 교육, 타산업과 생성형 AI 간의 융합적 인재 양성 및 산업 전반에 전문 인력 수급이 가능한 AI 인력 양성 프로그램 추진
▪︎ (신뢰성・안정성) 생성물의 데이터 편향, 사용의 오남용, 가짜 정보 탐지를 위한 시스템 개발 및 알고리즘의 투명성 확보
▪︎ 논문 및 특허 분석에 따르면, 10개 미래유망기술 모두 성장기에 있으며 영향력 측면에서는 미국과 유럽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논문 및 특허 분석에 따르면, 10개 미래유망기술의 논문영향력과 특허영향력에 따라 차별화된 기술확보전략이 필요하며, 상대적으로 논문영향력 및 특허영향력의 경쟁력이 낮은 생성형 AI 기술은 정부 차원의 지원이 중요하고 상대적으로 논문영향력 및 특허영향력의 경쟁력이 높은 생성형 AI 기술은 높은 기대성과가 예상되어 집중적 투자가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제256호 과학기술&ICT동향] 미국, 보건의료 분야에서 생성형 AI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한 기사 발표
-
다음글
- [2024년 2호] (산업‧기술동향) ’24년 10대 미래 기술 (MIT Technology Review, 1月)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