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ASTI Market Insight 269: 비강 투여 의약품
- 등록일2024-06-03
- 조회수1961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4-05-24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비강 투여 의약품#나잘 스프레이#의약품#비염
- 첨부파일
ASTI Market Insight 269: 비강 투여 의약품
◈본문
KEY FINDING
1. 비강 투여 의약품은 비강 내 점막을 통해 약물을 투여하는 의약품으로, 약물의 높은 흡수성, 사용의 용이성편의성, 환자 편의 등과 같은 장점으로 이용이 증가하며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2. 비강 투여 의약품 시장은 환자 및 의사들 사이에서 자율적 투약 관행 채택이 증가하고, 약물 투여 방식 중 코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다양한 성장 기회를 얻고 있다.
3. Markets and Markets의 보고서에 의하면, 비강 투여 의약품 세계 시장 규모는 2022년 659억 달러에서 2027년 869억 달러로 증가하고, 이 기간 5.7%의 CAGR이 전망되고 있는 유망 산업이다.
4. 약물의 비강 투여시, 1회 분무 작동 과정의 분사량 차이 등으로 약물 전달의 변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비강 투여 후 신체에 흡수되는 양의 변동성이 최소화되도록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비강 투여 의약품 시장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신규 적용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과 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약물전달 용기의 개선 및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1) 시장의 개요
비강 투여 의약품(nasal drug)은 비강 내에 존재하는 점막을 통해 약물을 투여하여 안전하게 원하는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의약품으로, 사용의 용이성편의성, 환자 편의와 같은 몇 가지 이점 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이고 전통적으로 의약품을 체내로 도입하 는 방법은 의약품을 입을 통해 섭취하는 경구 투여(oral route) 방식 이다. 그러나 비강은 인체에서 유일하게 뇌가 외부와 직접적으로 소 통하고 있는 부분이고, 비강 점막에는 혈관이 풍부해 약물이 흡수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코는 약물이 흡수될 수 있는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수많은 미세 융모로 덮인 내피 세포들이다. 또 이 내피 세포층에는 많 은 혈관이 들어있고 코 정맥 내의 혈액들은 직접 전신 순환계로 통하 기 때문에, 경구 투여 약물의 경우에서와 달리 간을 통과하여 대사, 손실되는 양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약물 복용에 따른 다른 신체 장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비강을 통한 약물 전달 방식은 의약품의 1회 투여량이 적어도 되고 신속하게 혈중 약물 레벨을 유지할 수 있으며 빠르게 신체 내에서 약물 활동의 보장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약물의 비강 투입은 부작용이 적고 cm3 당 혈중 약물 흐름이 높으며, 기공이 많은 내피세포를 통하기 때문에 신체 내부로의 접근이 쉽다. 일부 약물의 경우에는 후각 신경을 통하여 뇌에 곧바로 전달되는 투약 경로도 확보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스프레이 등을 이용해 약물을 코 속에 분사하여 이용되고 있는데, 대부분은 감기나 알레르기 치료를 위한 충혈제와 같은 국소 작용 약물 형태이고, 전신 효과용 의약품에서의 이용은 아직은 미미하다. 나잘(비강, nasal) 스프레이로 사용할 수 있는 활성화된 의약품으로는 편두통 약, 과다복용 및 발작 응급 치료제, 니코틴 대체제, 호르몬 치료제 등이 있다.
비강은 혈관 형성이 잘 되는 얇은 점막으로 덮여 있어, 비강으로 들어 온 약물 분자는, 경구 투여된 약물과 달리 1차 간 및 장 대사 없이, 단일 상피 세포층을 통해 빠르게 전달될 수 있으며, 작은 약물 분자의 경우 5분 이내에 도달 가능하다. 비강 투여는 알약이나 캡슐을 분쇄하거나 분쇄한 후 코로 흡입하거나 냄새를 맡는 방식으로, 경구 투여의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빠른 효과를 원하거나, 장이나 간에 서 약물이 분해되는 비율이 높아 경구 흡수가 잘 안되는 약도 이러한 비강 경로를 통해 효과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구 투여 의 약품의 생체 이용률은 25%에 불과한 반면, 저분자량 약물인 프로프 라놀롤에 대한 비강 투여 후 생체 이용률은 거의 90%에 가깝고, 대 부분의 경우 비강 투여 약물은 비교적 생체 이용률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미 알레르기 비염 치료에 쓰이는 항히스타민제와 스테로이드제의 비강 투여는 매우 일반적이며, 펜타닐/몰핀과 같은 마약성 진통제, 옥시토신, 데스모프레신과 같은 호르몬 약물, 마취제, 항히스타민 제(아젤라스틴), 위장관치료제(특히 메토클로프라미드 및 온단세트론), 진정제 등도 비강을 통해서 투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비강 투여 약물 전달 방식에서 주목하고 있는 약물은, 이미트렉스-수마트 립탄, 조미그-졸미트립탄, 미그라날-다이하이드로르고타민과 같은 처방전 없이 구입 가능한 두통약 분야의 약품(OTC)이다. 나잘 스프 레이(nasal spray) 같은 몇 개의 유명 편두통 약들은 빠른 효과가 있음에도, 메스꺼움으로 경구 투여가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현재 비강 투여 제품으로 제공되고 있다. 경구 투여 후 약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펩타이드 약물(호르몬 치료제)도 나잘 스프레이로 적용이 기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의 경우 뇌로 직접 전달하기 위해 약품을 코로 전달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과의 관련성이 밝혀지면서 인슐린의 비강 투여에 대한 관심도가 급격히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비과용 분무제는 코감기(급성비염(코염)), 알레르기성 비염(코염), 부비동염에 의한 코막힘, 콧물, 재채기, 머리 무거움에 사용되는 의약품으로, 비강에 분무하는 제품이고, 계절성 또는 통년성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품으로 비강용 의약품의 대표 제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많은 제약회사에서 제조〮판매하고 있다. 약물의 비강 투여는 제한된 부피 내에서만 비강에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강력한 약물에 적합하다. 지속적이고 빈번한 투여를 위한 약물은 코 상피에 유해한 장기적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제외되고 있다.
1) 산업 특성 분석
▏︎시장 추동 요인
●투여 용이성과 우수한 효능으로 환자 선호도 증가
비강 투여 약물 전달은 환자와 의료 제공자들 사이에서 가장 선호 되는 약물 전달 경로 중 하나이다. 이는 주로 이 전달 경로의 비침습적 특성과 코 경로를 통한 약물 흡수성이 높기 때문이다. 비강 경로는 위장 경로보다 덜 적대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더 나은 약물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른 약물 전달 경로와 달리 비강 약물 전달 방식은 약물을 체내에 투여하기 위한 적대적인 환경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자기관리 관행의 채택 증가
특히 코막힘이나 꽃가루 알레르기와 같은 급성 질환 상태에서 의약품의 자가 투여는 일반적인 관행이다. 약물 자가 투여의 주요 장점은 의료 시설을 방문하거나 훈련된 의료 종사자의 모니터링을 수반 하지 않기 때문에 편의성과 시간 및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는 점이다. 비강 투여 의약품은 대부분 코와 관련된 불편함이나 통증 완화 등 급성 징후를 위해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이들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자가 투여를 선호한다. 게다가, 비강 투여 약물 전달의 비침습적 특성은 약물의 자가 투여를 보다 매력적으로 만들어 준다.
▏︎시장 제약 요인
●나잘 스프레이 남용과 관련된 합병증
나잘(비강) 스프레이를 과다하게 사용하면 코 점막에 염증이 생기거나 코 안이 건조해지거나 일시적으로 타는 듯한 느낌, 콧물 등 다양한 합병증이 생긴다. 따라서 이러한 스프레이를 계속 사용하게 되면 코 내부의 혈관이 약물에 덜 반응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점은 나잘 스프레이에 대한 비강 약물 전달 시장의 성장을 제한할 것으로 예상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