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dustry

(BioIN + Industry) : 바이오 산업별 시장현황 및 전망정보 제공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19-04-05
  • 조회수19228
  • 분류제품 > 바이오의약

[BioINdustry No.135]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현황 및 전망

 

※ 본 보고서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Frost & Sullivan에 의뢰한 보고서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으며, 이와 관련한 저작권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 있음


[목 차]

 

1. 개요

1) 정의 및 범위

2) 전체 시장 현황 및 전망

 

2. 바이오신약

1) 바이오신약 시장현황 및 전망

2) 바이오신약 산업 트렌드

 

3. 바이오시밀러

1) 바이오시밀러 시장현황 및 전망

2) 바이오시밀러 산업 트렌드



□ 바이오의약품을 바이오신약(Biologics)와 바이오시밀러(Biosimilars)로 구분하여 시장현황 및 전망을 분석

 

○ 바이오오신약은 단일클론항체, 백신, 재생의학, 재조합 단백질로 분류하고, 단일클론항체에는 항체 약물 결합체를, 재생의학은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를 포함

 

○ 바이오시밀러는 특허가 만료된 바이오신약의 효능, 안전성 및 품질과 비슷한 특성을 지닌 동등생물의약품으로, 기존 바이오신약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는 특징


□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17년 2,706억달러(약 306조원)에서 연평균 8.6%로 성장하여 2023년 4,420억달러(약 500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

 

○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대부분은 바이오신약이 지배하고 있지만, 바이오시밀러 부문에서 두 자릿수의 높은 성장률이 전체 시장 성장을 촉진 할 것으로 예상

 

- 바이오신약은 매출 측면에서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만, 바이오시밀러는 향후 높은 성장률을 보임.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인도, 중국, 한국이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주도

 

- 바이오신약 중 재생의학은 2018∼2023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이는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의 유망한 파이프라인과 재생의학적 신약 개발을 위한 활발한 M&A 활동의 결과로 유추

 

 

- 반면 단일클론항체 및 재조합 단백질은 유망한 파이프라인이 존재하지 않아, 완만한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현황 및 전망(2017-2023단위십억달러)

 


 

 

 

바이오의약품.jpg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Strategic Insights into Biopharmaceuticals Industry(Frost & Sullivan 분석), 2019.3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