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DNA 바코드와 바코드 미생물 성봉현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목차 1.DNA 기반 생명체 분석 2.DNA 바코딩 3.바코드 미생물(barcoded microorganisms) 4.기대효과 5.참고문헌 ◈본문 1. DNA 기반 생명체 분석 최근 방영되는 범죄스릴러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과학수사라고 적힌 옷을 입은 검시관들이 사건현장을 수사하는 모습이 당연시 되고 있다. 과학수사는 범죄 현장에 남겨진 증거물과 단서를 과학적 지식, 장비 및 시설을 이용해 분석하여 사건을 해결하는 수사방법을 말한다. 과학수사에는 지문감정, 혈흔형태 분석, 화재감식, 영상분석, 문서감정, 프로파일링, DNA 분석 등이 포함된다. [그림 1] 사건현장 과학수사 모습 DNA 분석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2010년 DNA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DNA법)이 시행되었다. 이를 통하여 범죄를 저지른 자의 DNA 정보와 범죄 현장 증거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