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스위스 제약 시장동향
- 등록일2020-10-19
- 조회수597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09-28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스위스#제약#의약품
스위스 제약 시장동향
김민혁 (스위스 취리히무역관)
- 스위스 제약산업, 세계적인 불황 속에서 비교적 호조 –
- 한-스위스 GMP 상호신뢰 협정체결 마무리, 뚜렷한 성과는 아직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 의약품
ㅇ HS code : 300450
□ 시장동향
ㅇ 스위스 제약협회에 따르면, 2019년 스위스 제약 산업 매출은 약 620억 프랑(약 684억 달러)으로 스위스 GDP의 9.3%를 차지
- 제약산업은 화학산업과 함께 제약∙화학산업으로 일컬어지며, 제약∙화학산업은 2018년 2,331억 프랑(약 2,463억 달러) 수출
- 지난 2년간 제약산업은 1,400여개의 일자리 창출, 현재 약 254,000명이 관련 분야에 종사
ㅇ 코로나19로 의약품 판매 증가
-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2018년까지 연간 평균 4.3%의 성장률을 기록, 이번 코로나19 확산으로 의약품 판매 및 수출이 증가했으며, 2020년 2분기는 스위스 제약∙화학 산업 수출 전년 동기대비 3.8%감소
- 현지 주요 기업 노바티스(Novartis)와 로슈(Roche)의 의약품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락다운으로 기타 사업 실적 부진 등 영향으로 2분기 매출은 양사 모두 전년 동기대비 4% 감소
□ 수입 동향
최근 3년간 스위스의 의약품 수입 동향((HS code : 3004)
(단위: US$ 백만, %)
(언론사)제목 |
링크 |
(Reuters)스위스 제약 기업 론자, 미국 Moderna와 합작, 코로나19 백신 개발 중 |
https://www.reuters.com/article/us-health-coronavirus-vaccine-lonza-excl/exclusive-lonza-sets-new-goal-to-make-moderna-covid-19-vaccine-ingredients-idUSKBN2392C4 |
(Biopharma)스위스 제약기업 노바티스, 코로나19 백신 개발 위해 Massachusetts eye and ear 및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과 파트너쉽 |
https://www.biopharma-reporter.com/Article/2020/06/01/Novartis-partners-to-manufacture-COVID-19-vaccine?utm_source=right&utm_medium=OnSite&utm_campaign=right |
(Biospectator)로슈, IL-6 저해제 악템라, 임상 3상 실패 |
http://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10971 |
자료 : Interpharma with data basis IMS Health Switzerland, 2018
- 약국은 스위스 의약품의 주요 공급처로 일부 칸톤(미국의 주(State)에 해당)의 몇몇 의약품은 소수의 약국에 의해 독점적으로 제공되기도 함. 의사가 개인적으로 판매하는 Self Dispensation(SD)는 매출액 기준 24.8%로 병원(23.7%)보다 더 높은 점유율 차지
ㅇ 현지 약국에서 근무하는 N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최근 에키네시아(Echinacea)에 코로나바이러스를 박멸하는 효능이 있다는 슈피츠 실험실(spiez laboratory)*의 발표 이후, A.Vogel사의 제품 수요 크게 증가
* 슈피츠 실험실(spiez laboratory) : 스위스 연방 민사 보호국(Federal Office for Civil Protection) 소속으로, 무기 통제, 건강 및 질병 관련 업무 담당
□ 관세율 및 인증
ㅇ 한국 의약품(HS code : 300450 기준) 對스위스 수출 시 관세 없음
ㅇ 한-스위스 GMP 상호신뢰 협정
- 2019년 12월 18일 스위스 베른에서 ‘대한민국 또는 스위스 내에서 상업용으로 제조되고, 의약품 제조 및 품질기준 요건이 적용되는 모든 인체용 의약품’에 적용되는 ‘GMP 상호신뢰에 관한 협정’체결 (발효일 : 2020년 1월 15일)
- 당사국은 제조사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적합성 평가절차로서 상대 당사국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증명서를 신뢰, 체결 이후 실사 절차가 생략되어 양국 제약사들은 양국 제약시장 진출 시 시간과 비용 단축 가능
□ 시사점
ㅇ 스위스 제약산업은 화학산업과 같이 언급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스위스 수출의 중심축
- 2018년 기준 전체 수출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의약품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 2020년 2분기 락다운의 영향으로 제약∙화학산업이 주춤하였으나, 제약사들은 2020년을 긍정적으로 전망
- 로슈와 노바티슈를 주축으로 산업을 선도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많은 스위스 기업들이 세계 제약업계에서 자리매김
ㅇ 한국의 스위스 제약시장 진출 및 협력 방안
- GMP 상호신뢰 협정으로 낮아진 진입장벽 활용
- 스위스 제약업계 내 가장 큰 이슈는 코로나19 백신 개발로 각국의 글로벌 제약회사와 협력하며 임상실험을 진행 중, 한국의 많은 제약업체도 코로나19 백신 관련 연구 중으로 공동 연구, 기술 라이센스 등 협력 모색 가능
자료 : Interpharma, Global Trade Atlas, 스위스 연방 통계청, 스위스 연방 관세청, Reuters, Biopharma, Biospectator, Pharma Boardroom, 취리히 무역관. 끝.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