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언택트 시대의 10대 미래유망기술
- 등록일2021-02-08
- 조회수655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1-27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래유망기술#언택트#뉴노멀#미래사회
- 첨부파일
언택트 시대의 10대 미래유망기술
요 약
연구 배경
- COVID-19 팬더믹으로 촉발된 뉴노멀 시대로의 전환(비대면화, 위험 일상화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미래 신산업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접근 필요
- KISTEP은 매년 미래 한국사회의 핵심이슈를 선정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10대 미래유망 기술 발표
연구 절차
- 미래이슈 선정, 미래유망 후보기술 발굴, 10대 유망기술 선정 및 상세분석 등의 순으로 연구 수행
연구 결과
- 2021년 미래유망기술 주제는 ‘비대면사회’로 선정되었으며, 주요 영역(소비, 의료, 교육 등)별 미래사회 니즈와 대응 기술 발굴
- 기업 간담회 및 특허 분석 등을 통해 언택트 시대의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① 비침습 생체정보 기반의 심혈관 질환 관리 기술, ② 교통약자를 위한 Level 4 자율주행 자동차, ③ LXP 기반의 개인 맞춤형 큐레이션 기술, ④ 자율주행 기반의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서비스, ⑤ 지능형 엣지 컴퓨팅, ⑥ VR/홀로그램 기반 실시간 협업 플랫폼, ⑦ 인터페이스의 벽을 허무는 Beyond Screen 기술, ⑧ 초연결 시대의 사이버 지킴이, 인공지능 보안기술, ⑨ 비대면 초실감 미디어 제작 및 중계 기술, ⑩ 온라인 쇼핑 쓰레기를 줄이는 녹색포장 기술
결론 및 시사점
- 언택트 시대의 10대 미래유망기술은 인구구조 변화(저출산・고령화), 맞춤형 서비스 제공, 사회 안전성 제고 등의 미래사회 니즈에 대응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미래유망기술의 상용화를 촉진하고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실현 저해요인을 상세 분석하고 관련 법・제도 개선 노력 필요
※ 본 이슈페이퍼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공식 의견이 아닌 필자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Ⅰ 연구 배경
○ 코로나바이러스-19(이하 COVID-19)의 창궐로 뉴노멀 시대로의 전환이 급격이 이루어지고 있어 미래예측에 대한 중요성 증대
- 미래사회에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슈를 조망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유망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하는 것은 국가와 기업의 성패로 이어짐
- 과학기술은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 기술(인공지능, 빅데이터 등)과의 융합으로 기술이 기술을 발전시키는 시대가 도래할 전망
※ 농업혁명에서 산업혁명으로 전환하는데 8천년이 소요되었으나, 달 탐사 및 인간 유전자 정보 이해 등을 위해 걸린 시간은 10~100년으로 대폭 줄어듦
○ 국내외 공공 및 민간 미래예측 연구기관1)들은 미래신산업 발굴 및 미래사회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미래유망기술 정보를 제공
- (MIT)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해 향후 인류가 추구할만한 가치있는 10대 유망기술 발표
- (WEF) 전문가 집단의 의견수렴 및 평가를 통해 향후 5년 내 인류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유망기술을 하계 다보스포럼에서 발표
- (Gartner) IT 및 비즈니스 산업에 파급력이 높거나 거대 투자기업이 관심을 가질만한 트렌드 또는 유망기술 발표
- (IBM) IBM 연구소가 개발 중인 신기술을 토대로 향후 5년 간 세상을 변화시킬 유망기술 발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빅데이터 분석 및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미래 신시장・신산업 창출을 위한 유망기술 발표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문헌조사 및 전문가 심층토론 등을 통해 바이오 산업 혁신 및 부가가치 확대를 위한 유망기술 발표
○ KISTEP은 2009년부터 매년 유망기술을 탐색하고, 이중 향후 사회・경제・환경적 파급효과가 큰 10대 유망기술을 선정하여 발표
- 2013년부터는 미래 한국사회의 핵심이슈*를 선정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유망기술 발표
* “인구구조의 고령화(’13)”, “안전위험의 증가(’14)”, “사회격차 증가(’15)”, “삶의 만족도・사회적 신뢰 하락(’16)”, “생활 공해와 환경오염 증가(’17)”, “스마트 사회로의 패러다임 전환(’18)”, “국내 제조업 경쟁력 약화(’19)”, “초연결・초지능화 시대(’20)”
- 미래예측 시점은 향후 10년 이내이며, 문헌조사, 설문조사, 특허분석, 기업 간담회, 전문가 의견수렴 등 다양한 프로세스를 거쳐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Ⅱ 연구 절차
본 연구는 미래이슈 도출, 미래유망 후보기술 발굴,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미래유망기술 상세분석 등의 순으로 수행
- (미래이슈 도출) 국내외 문헌조사,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통해 미래 한국사회의 핵심이슈 후보군 발굴
- 미래예측 전문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KISTEP 정책고객 등을 대상으로 후보주제에 대한 설문조사 수행
- (후보기술 발굴) 선정된 미래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후보기술은 미래유망기술 발굴 위원회 및 문헌조사를 통해 발굴
-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일반인 및 KISTEP 정책고객 등을 대상으로 우선순위를 평가하고, 후보기술별 기업(또는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하여 기술 실현가능성 및 현주소 파악
- 미래유망 후보기술별 특허분석을 통해 기술별 발전단계, 출원건수 추이, 허핀달-허쉬만 지수(HHI) 지수* 산정
* 해당 기술의 상위 4개사 간 점유율 분포에 따른 상위기업 내 시장 집중의 강약 및 상위 4개 사 이외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 분포
- (미래유망기술 상세분석) 기술 정의 및 범위, 국내외 정책・산업・기술 동향, 2030년 미래 활용모습, 기술실현 저해요인 및 정책 제언 등 심층 분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KBCH 브리핑] EU : 이해당사자들의 NBT기술에 대한 인식과 관련 정책 상황(2021-02)
-
이전글
- [주간농업농촌식품동향_Vol. 4_2021.2.1.] 2021년 농식품부 업무계획 등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