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16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
- 등록일2016-05-09
- 조회수544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4-29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미래유망기술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16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
[요약문]
Ⅰ. 배경
○ 미래유망기술 선정의 중요성
- (미래기술에 대한 관심 증대) 경제?사회의 변화와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가 빨라져 미래기술의 대한 경제적, 기술적 가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합리적 선택을 위한 정보 필요
- (과학기술의 역할 증대) 미래 사회의 모습은 경제?사회와 과학기술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되므로 주요한 미래이슈를 발굴하고 대응수단을 마련
- (유망기술의 전략적 확보 필요)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선택과 집중’의 원칙하에 미래한국에 필요한 유망기술의 확보 전략이 필요
○ KISTEP 10대 미래유망기술의 목적
- 바람직한 미래 한국사회을 준비하는 관점에서 과학기술의 역할 강화방안을 모색
- 미래 한국사회의 핵심 이슈를 선정하고 기술적?경제적 파급효과뿐 아니라 미래 수요에 대한 사회적 대응력을 향상시켜줄 수단으로써 미래유망기술을 선정
- 연구자, 민간 기업, 정책 입안자 등에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도록 미래변화방향과 기술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
Ⅱ. 이슈 선정
○ 2016년 미래유망기술 선정을 위한 한국사회의 핵심 미래이슈로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신뢰를 선정
- 뉴스?미디어 등의 소셜데이터, 국내외 미래이슈보고서, 내?외부 전문가 검토 과정 등을 거쳐 2016년 한국사회의 주요 이슈로 삶의 만족도(삶의 질)를 선정
? OECD의 삶의 질 보고서는 대상국가 36개 중 대한민국을 26위로 평가(?13)
? UN 행복보고서는 대상국가 158개국 중 대한민국을 47위로 평가(?15)
?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등은 10년 후 대한민국을 준비하기 위한 2대 전략이슈 중 하나로 ?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제시(?15)
? 대한민국이 미래50년을 위해 준비해야할 3대 이슈에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회의 질 제고?을 제시하고, 하위 이슈에 ?사회적 신뢰 형성?을 언급(?16, KISTEP)
-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주요 수단이자 과학기술을 우리사회의 보편적 자본으로 활용하는 방안으로서 사회적 신뢰를 또한 관련 이슈로 선정
? 사회자본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협력과 사회적 거래를 촉진시키는 일체의 신뢰, 규범, 연결망 등 사회적 자산을 포괄하여 지칭(장시준, ?06 등 다수)
? 사회자본은 사회 전반의 이익과 사회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유석춘?장미혜, ?02 등 다수)
? 사회자본은 삶의 만족과 행복에 영향을 미침(Putnam, 1993 등 다수)
- 삶의 만족과 사회적 신뢰는 선순환적 관계의 특성이 존재해 이를 활용할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관련 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
? OECD의 삶의 질 측정 프레임에 따르면 개인의 삶의 질 수준과 한 사회의 삶의 질의 지속가능성은 상호 순환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삶의 만족도는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의미하고, 삶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 필요한 자원 중 하나가 사회자본인데 가장 핵심적 요소가 사회적 신뢰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